항목 ID | GC08200445 |
---|---|
한자 | 地藏寺 獨聖圖 |
영어공식명칭 | Hermit in Jijangsa |
이칭/별칭 | 지장사 독성도,호국지장사 독성도,지장사 독성탱,호국지장사 독성탱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이용윤 |
제작 시기/일시 | 1893년![]() |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9년 5월 19일![]() |
현 소장처 | 호국지장사 삼성각 -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동작동 산41-2] 호국지장사![]() |
원소재지 | 호국지장사 -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동작동 산41-2] 호국지장사 |
성격 | 불화 |
작가 | 금호당(錦湖堂) 약효(若效) |
소유자 | 대한불교조계종 호국지장사 |
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 호국지장사 |
문화재 지정 번호 |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6호 |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국립현충원 내 호국지장사 삼성각에 봉안되어 있는 개항기 독성도.
독성도는 『제반문(諸般文)』, 「독성제의문(獨聖齊儀文)」에 나타나는 나반존자(那畔尊者)를 형상화 한 것이다. 나반존자의 모습은 붉은 납의로 어깨의 반을 덮고 도를 즐기고 흰 눈썹이 눈을 덮어도 공을 관한다라고 되어있어 보통 나이든 비구의 모습으로 표현된다.
「지장사 독성도」는 1999년 5월 19일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6호에 지정되었다.
「지장사 독성도」는 1893년(고종 30)에 제작한 불화로 크기는 가로 95.7㎝, 세로 121㎝의 비단 바탕에 채색하였다.
「지장사 독성도」는 나반존자가 늙은 소나무 아래에서 바위에 기댄 채 동자(童子)의 공양(供養)을 받고 있는 모습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반존자 주위에는 나무와 폭포, 구름, 바위 등이 표현되어 있어 깊은 산 속을 형상화하였다.
「지장사 독성도」는 나반존자가 석장(錫杖) 대신 영지(靈芝)를 들고 있는 모습이 특징이다. 19세기에 제작된 독성도는 대부분 나반존자가 석장을 짚은 모습으로 표현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지장사 독성도」는 화승(畵僧) 금호당(錦湖堂) 약효(若效)가 본인만의 도상을 사용하여 제작한 것이다. 같은 초본[밑그림]을 차용하여 그린 불화와는 달리 약효의 독자적인 화풍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독특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