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8341
한자 李泌東
영어공식명칭 I Pildong
이칭/별칭 아성(雅聲)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44년 12월 15일연표보기 - 이필동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77년 - 이필동 극단 원각사의 대표
활동 시기/일시 1982년 - 이필동 누리예술극장 설립
활동 시기/일시 1988년 - 이필동 한국연극협회 경북지부장
활동 시기/일시 1988년 - 이필동 『경북일보』 문화부장
활동 시기/일시 1992년 - 이필동 『경북매일신문』 문화부장
몰년 시기/일시 2008년 7월 18일연표보기 - 이필동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09년 7월 17일 - 연극 「선택」 상연
추모 시기/일시 2018년 7월 19일 - 대구 국제뮤지컬페스티벌에서 아성 크리에이터 상 제정
활동지 대구 - 대구광역시
성격 연극인
성별 남성
대표 경력 극단 원각사 대표

[정의]

대구 지역에서 활동한 연극인.

[개설]

이필동(李泌東)[1944~2008]은 1944년 12월 15일 태어났다. 이필동아성(雅聲)으로도 불렸다. 1967년 이후 극단 인간무대와 극단 공간의 대표를 역임하여 대구 연극계에 족적을 남겼다.

[활동 사항]

이필동은 1977년 극단 원각사의 대표로 활동하였다. 1988년 한국연극협회 경북지부장을 맡았으며 1982년에는 연극 전용 소극장인 누리예술극장을 설립하여 운영하였다. 또한 계명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구대학교, 영남대학교 등에서 무용예술 및 연극과 관련된 강의를 하였다. 「대머리 여가수」, 「수전노」, 「이수일과 심순애」 등 100여 작품의 연출과 출연을 맡았다.

이필동은 1988년 『경북일보』의 문화부장으로 활동하였으며 1992년에는 『경북매일신문』의 문화부장으로 있었다. 이필동은 2008년 7월 18일에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이필동의 저서로는 『대구연극사』, 『새로 쓴 대구연극사』, 『무대예술입문』이 있다. 이 외에도 「대머리 여가수」, 「수전노」, 「사윗감을 구합니다」, 「이수일과 심순애」, 「오이디푸스」 등 수많은 작품의 연출을 맡았다.

[상훈과 추모]

이필동은 1982년에 금오문화상을 수상하였으며 1991년에는 서울신문 향토문화상, 1993년 대구광역시 문화상, 1994년 대구연극제 연출상, 1999년 국민포장 등을 수상하였다.

이필동의 1주기 추모를 위하여 대구시민회관 대공연장에서 이필동의 일화를 모티프로 한 연극 「선택」이 상연되었다. 「선택」은 이필동이 대표직을 수행하던 극단 원각사를 중심으로 대구 무대, 연인 무대, 처용, 마카 등 5개 극단 20명의 배우가 출연하였다. 2018년에는 대구 국제뮤지컬페스티벌에서는 초대 조직위원장직을 수행한 이필동의 예술 정신과 업적을 기리는 ‘아성 크리에이터 상’을 특별상으로 제정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