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8135
한자 李東雨
영어공식명칭 Lee Dongwoo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일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09년연표보기 - 이동우[1909~?]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30년 12월 - 이동우[1909~?] 비밀결사 프로과학연구소 조선 제1지국 결성 참여
활동 시기/일시 1931년 8월 - 이동우[1909~?] 비밀결사지도자회 조직
활동 시기/일시 1931년 11월 - 이동우[1909~?] 부산지방법원 밀양지청에서 징역 10월에 집행유예 3년형 언도
활동 시기/일시 1931년 12월 3일 - 이동우[1909~?] 반전 격문 살포
수학 시기/일시 1931년 12월 24일 - 이동우[1909~?] 대구공립상업학교 퇴학
활동 시기/일시 1932년 12월 2일 - 이동우[1909~?] 대구지방법원 형사부에서 징역 2년형 언도
출생지 용산리 -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용산리
학교|수학지 대구공립상업학교 - 대구광역시 지도보기
활동지 밀양 - 경상남도 밀양시
활동지 대구 - 대구광역시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대표 경력 프로과학연구소 조선 제1지국 성원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이동우(李東雨)[1909~?]는 1909년 지금의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용산리에서 태어났다. 대구공립상업학교 재학 중 항일 비밀결사 조직을 결성하여 활동하였다.

[활동 사항]

이동우대구공립상업학교에 재학 중이던 1930년 12월 말 김홍열(金洪㤠)·김동욱(金東旭)·권몽달(權夢達) 등과 만나 사유재산제도를 부인하고 공산주의사회의 실현을 목적으로 일본 도쿄[東京] 프롤레타리아과학연구소에서 발행한 잡지 『프롤레타리아과학』을 통하여 사회주의 연구와 보급을 도모하였다. 이후 동지를 규합하기 위하여 비밀결사 프로과학연구소 조선 제1지국을 결성하고 독서회와 지국원 회의를 열었다.

이동우는 1931년 8월 밀양합동노동조합의 간부와 함께 비밀결사지도자회를 조직하여 활동하다가 체포되었고, 11월 부산지방법원 밀양지청에서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10월에 집행유예 3년형을 언도받았다. 이동우는 집행유예 기간 중임에도 불구하고 1931년 12월 지도자회를 재조직하기 위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동우는 1931년 12월 3일 밀양청년동맹회관에서 안영달과 만나 안영달 등이 만들어 놓은 일제의 만주 출병 반대 격문을 대구에 살포할 계획을 세웠다. 이동우와 안영달은 신문 배달부로 위장하여 반전 격문 700여 장을 보병 제80연대 병영, 대구공립중학교,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 가다쿠라[편창]제사 공장 구내에 살포하고 시내 곳곳에 부착하였다.

대구 격문 투쟁이 단서가 되어 대구 지역 비밀결사 조직이 일제 경찰에게 발각되었고, 이동우는 일제 경찰에게 체포되었다. 1931년 12월 24일 대구공립상업학교에서 퇴학당하였으며, 1932년 12월 2일 대구지방법원 형사부에서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형을 언도받고 대구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