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교육수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305
한자 敎育首都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갑진

[정의]

대구광역시가 대한민국의 교육을 대표하고자 한다는 의미의 대구광역시 교육청의 엠블럼.

[개설]

교육수도(敎育首都)는 대구광역시가 대한민국의 교육을 대표하고 더 나은 대구 교육을 만들겠다는 의미의 대구광역시 교육청의 엠블럼이다.

[특징]

‘대한민국 교육수도 대구’와 ‘대한민국 행복교육의 수도 대구’라는 2건의 업무표장이 2015년 5월 22일 특허청에 등록된 것을 기념하고 더 나은 교육을 위하여 지역사회가 함께 노력하자는 메시지를 전하기 위하여 2015년 10월 7일 대구학생문화센터 대공연장에서 ‘대한민국 교육수도 대구’ 선포식이 열렸다. 선포식에서는 대구광역시가 행복 교육과 인문교육을 선도하는 등 교육 도시로서의 명성을 되찾았다고 선언하고 앞으로도 대한민국의 교육을 이끌어 나가자는 의지를 다졌다.

교육수도 대구는 상호 존중과 배려·공감의 인성 함양, 경쟁이 아닌 공존을 위한 공동체교육, 교육과정과 수업 및 평가의 혁신, 진정한 즐거움과 몰입이 있는 행복 역량 교육, 다양하고 질 높은 교육 기회 제공과 꿈과 끼도 소외되지 않도록 하는 진로 교육, 교육환경에 대한 획기적인 검토와 신개념 첨단 방법을 적용한 안전한 교육환경, 시민 개개인의 교육 역량을 강화한 공부하는 대구, 교육이 중심이 되는 대구를 목표로 하고 있다.

대구광역시 교육청은 근거로 대구광역시가 조선시대 정신문화의 요람이자 인재가 많은 영남 지방의 중심 도시라는 점과 나라를 사랑하는 학생들의 항일 구국 정신이 살아있는 도시, 자유민주주의 국가를 향한 학생들의 정의감이 숨 쉬는 도시라는 점 등을 들었다. 또한 지난 2010년부터 시작한 대한민국 행복 교육의 발상지이자 메카가 대구광역시라는 점, 인문교육을 선도하는 도시, 교육공동체와 시민의 배움을 향한 교육 열정이 뜨거운 도시라는 점도 대구광역시가 교육도시의 수도로서 충분하다고 밝혔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