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5557
한자 大學校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삼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학교

[정의]

대구광역시에 있는 고등교육기관.

[근대]

대구 지역에서 전문학교가 설립된 시기는 일제강점기이다. 1933년 공립 대구의학전문학교와 1944년 관립 대구농업전문학교가 세워졌다.

대구의학전문학교의 전신은 1923년 7월 21일 관립 대구자혜의원(大邱慈惠病院)[도립 대구의원,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내 부설 사설 의학강습소로 설립되었다. 1925년 4월 1일 조선도립의원관제에 따라 관리권이 경상북도로 이관되면서, 도립 대구의원으로 개칭되었다. 1926년부터 수업 연한이 3년에서 4년으로 되면서 전문대학 승격 운동을 펼쳤다. 약 8년이 지난 1933년 3월 6일 전문학교 설립인가를 받아 도립 대구의학강습소에서 공립 대구의학전문학교로 개교하였다. 대구의학전문학교는 제중원과 함께 대구 지역의 의료인을 양성하는 유일한 교육기관이었다.

관립 대구농업전문학교는 1944년 4월 개교하였다. 개교 당시 대구공립농림학교[현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의 교사 일부를 빌려 사용하였다. 학생은 농학과 50명, 농예화학과 50명이었으며, 학생 비율은 한국인과 일본인이 1:4였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수 3명, 생도주사(生徒主事) 1명, 조교수 1명 등이었으며, 한국인 교사는 1명에 불과하였다.

[현대]

1. 1940년대[1945. 8. 15.~ ]

1945년 8월 15일 이후 대구 지역의 고등교육기관은 다양한 형태로 유지되었다. 우선,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전문학교가 정식 대학으로 승격되고, 관립 학교는 국립학교로 전환되었다. 관립 대구농업전문학교는 1946년 9월 신학기부터 대구농과대학[전문대학, 일명 대구농업대학]으로 승격하였고, 「국립대학설치령」에 근거하여 국립 대구농과대학이 되었다. 1947년 10월 문교부는 대구농과대학을 정식 고등교육기관으로 인가하였다. 1945년 10월 1일 단과대학인 [도립]대구의과대학으로 이름을 바꾸고, 도립 대구의원을 부속병원으로 이관하였다. 1946년 9월 5일에는 [국립]대구의과대학으로 승격하였다. 1946년 10월 15일 대구사범학교 본과는 4년제 국립 대구사범대학으로 승격되었다. 따라서 국립대학은 3개교가 되었다. 1947년 대구대학이 대구 지역 최초의 사립대학교로 설립되었다.

2. 1950년대

1950년대 대구 지역은 고등교육기관의 양적 증가와 질적 성장이 이루어지던 시기이다. 국립 종합대학으로 경북대학교가 설립되었고, 사립대학교가 무려 4개교가 설립되었다. 1955년 「대학설치기준령」이 제정되면서 고등교육기관의 체계가 정립되기 시작하였다. 1951년 국립 경북대학교가 발족함에 따라 1952년 국립 대구사범대학, 국립 대구의과대학, 국립 대구농과대학이 경북대학교에 흡수되었다. 한편, 1950년 청구대학, 1952년 효성여자대학이 설립되었다. 1956년에는 계명기독대학, 한국사회사업대학이 설립되면서 사립대학이 급증하였다.

3. 1960~1970년대

1960~1970년대 대구 지역에서는 전문대학이 8개교가 설립되었다. 1960년대 경제개발오개년계획이 실시되고, 공업 육성책이 본격화되면서, 각 분야의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였고, 전문대학이 다수 설립되었다. 1960년 대구전문대학, 1970년대에는 계명전문대학, 대구보건전문대학, 대구공업전문대학, 영진전문대학, 신일전문대학, 영남공업전문대학, 동산간호대학이 설립되었다. 또한, 1962년 교원을 양성하는 국립 대구교육대학이 설립되었다.

4. 1980~1990년대

1980년대에는 경북대학교, 영남대학교, 계명대학교, 효성여자대학, 한국사회사업대학이 학과 증설과 정원을 증원하여 종합대학의 규모를 갖추었다. 특히 효성여자대학은 1980년 종합대학교로 승격하였고, 1982년 한국사회사업대학은 종합대학교로 승격하면서 교명을 대구대학교로 변경하였다. 2년제인 대구교육대학은 4년제 대학교로 승격되었다. 1980년대 사립대학교는 대구가톨릭대학교, 경북산업대학교가 설립되었다.

1980년대 학생 인구의 팽창으로 인한 교육 시설 부족으로 대학 캠퍼스는 대구 외곽 지역으로 본격적으로 이전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영남대학교[1968년부터 이전 시작], 대구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경일대학교 등 4년제 종합대학들의 본 캠퍼스가 경상북도 경산시로 이전하였다.

[현황]

2021년 기준 대구 지역의 4년제 종합대학은 국립 2개교, 사립 1개교가 있다. 국립은 경북대학교, 대구교육대학교, 사립은 계명대학교이다. 전문대학은 계명문화대학교, 대구공업대학교, 대구과학대학교, 대구보건대학교, 수성대학교, 영남이공대학교, 영진전문대학교 등 7개교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