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대구농업전문학교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5360
한자 大邱農業專門學校
이칭/별칭 관립 대구농업전문학교,국립 대구농과대학,경북대학교 농과대학,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임삼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인가 시기/일시 1944년 4월연표보기 - 대구농업전문학교 개교
개칭 시기/일시 1946년 9월연표보기 - 대구농업전문학교에서 대구농과대학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52년 4월연표보기 - 대구농과대학에서 경북대학교 농과대학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02년연표보기 - 경북대학교 농과대학에서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으로 개칭
성격 고등교육기관

[정의]

일제 강점기 대구광역시 지역에 있었던 사립 교육 기관.

[변천]

대구농업전문학교는 관립으로 1944년 4월 개교하였다. 개교 당시 대구공립농림학교[현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의 교사 일부를 빌려 사용하였다. 학생은 농학과 50명, 농예화학과 50명이었으며, 학생 비율은 한국인과 일본인이 1:4였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수 3명, 생도주사(生徒主事) 1명, 조교수 1명 등이었으며, 한국인 교사는 1명에 불과하였다. 광복 후 교사와 학생 수 부족으로 폐교되었다.

1946년 1월 대구 지역 한 시민 단체가 서울에 있는 밀람 대위에게 대구농업전문학교를 다시 열어달라고 청원하였다. 밀람 대위는 경상북도 군정장관에게 지시하여 일본 중학교 교사를 대구농업전문학교의 건물로 사용하도록 하고, 재개교하도록 조치하였다. 1946년 2월과 3월 두 달 동안 교수, 예산, 설비 이전, 학생 자격과 교과 과정 등에 대한 개교 준비를 모두 마쳤다. 1946년 3월 ‘대구농업번문학교’라는 명칭으로 개교하고, 150명의 학생[남학생]을 모집하였다. 1946년 9월 신학기부터 대구농과대학[전문대학, 일명 대구농업대학]으로 승격하였다. 국립대학 설치령을 근거로 하여 국립 대구농과대학이 되었다. 당시 교수 21명, 학생 110명이었다. 1947년 10월 문교부는 대구농과대학을 정식 고등교육기관으로 인가하였다. 1951년 국립 경북대학교가 발족함에 따라 국립 대구사범대학, 국립 대구의과대학과 함께 경북대학교에 흡수되었다. 1952년 4월 국립 경북대학교 농과대학으로 편제되고, 원예학과가 신설되었다. 2002년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으로 개칭되었다.

[의미]

일제강점기 대구 지역에서 농업 관련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최초의 고등교육기관이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