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4464
한자 鄕校
분야 종교/유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충희

[정의]

대구광역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관학 교육기관.

[개설]

대구광역시에 현존하는 향교(鄕校)는 대구향교, 칠곡향교, 현풍향교이다. 모두 조선시대에 건립되어, 지속적으로 후생을 교육하고 유교의 옛 성현에 대한 제향(祭享)을 이어 왔다.

조선시대의 향교는 국가에서 유학을 널리 교육하여 국가에 필요한 인재를 길러 내기 위한 교육기관이었으므로 향교의 설립과 운영을 국가에서 주관하였다. 향교의 운영에 필요한 비용은 학전(學田)을 지급하여 학전의 수입으로 운영하게 하였다. 향교에서 유생을 지도하는 교수(敎授)[종6품]와 훈도(訓導)[종9품]도 국가에서 파견하였으며, 잡무를 담당하는 노비도 향교의 규모에 따라 다르게 제공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향교의 운영에 대한 궁극적인 재량과 책임은 해당 지역의 지방관에게 있었다.

[현대의 향교]

향교에서 수행하는 교육은 현대에 이르러 크게 변화하였다. 대구향교칠곡향교는 현대인에게 맞는 다양한 교양강좌를 개설하여 교육과 관련된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한다. 현풍향교는 주민 수의 감소로 예전과 같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옛 성현에 대한 제향 기능만 이어 가고 있다.

현대의 향교가 행하는 사업을 조선시대의 향교와 비교하면 크게 달라지지 않은 것은 제향이다. 조선시대의 모든 향교에는 유교의 성인인 공자(孔子)의 위패를 모신 건물인 대성전(大成殿)이 있었다. 향교의 대성전에는 공자를 포함한 다섯 성인인 5성(五聖)과 송나라의 현인 두 명인 송조2현(宋朝二賢)과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일반적으로 모셔져 있다. 그래서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는 분향례(焚香禮)를 올리고, 매년 음력 2월과 8월의 상정일(上丁日)에는 석전대제(釋奠大祭)를 봉행(奉行)하고 있다. 제향 사업은 교육 사업 다음으로 중요하게 시행하여 온 사업이다. 교육 사업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강좌의 내용이나 프로그램이 크게 변화하였지만, 제향 사업은 예전과 같은 날짜에 같은 절차에 의하여 시행하고 있다. 대구 지역에 있는 세 향교도 제향 사업은 같은 날짜에 같은 방법으로 시행하고 있다.

[대구향교]

대구향교는 현재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735-4번지에 있으며,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이다. 대구향교는 1398년(태조 7)에 중구 교동에 창건되었다. 1592년에 임진왜란을 당하여 소실되어, 1599년에 지금의 달성공원 자리에 재건되었다. 1605년에 교동의 예전 자리에 재건되었고, 1932년에 현재의 위치인 남산동에 다시 이건되었다. 1981년에 재단법인 대구직할시 향교재단이 설립되고, 1995년에 유림회관 건물이 신축되었다.

현재의 대구향교는 명륜대학을 통하여 여러 가지 경전 강좌와 예절 지도 강좌, 서예 강좌를 개설하고 있으며, 여성회의 생활 예절 강좌, 청년유도회의 한문 강좌, 홍도학원의 새벽반 강좌 등을 운영하고 있다.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청소년 인성교육으로 충효교실과 창의적 체험 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5월 성년의 날에는 전통 관례와 계례를 실시하며, 전통 혼례도 접수하여 시행하고 있다.

[칠곡향교]

칠곡향교북구 읍내동 600번지에 있으며,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이다. 창건 연대에 관한 자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으나, 현재의 건물은 1642년(인조 20)에 건축되었다. 1981년 대구직할시의 승격으로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대구직할시로 편입되었다가 현재는 대구광역시 향교재단 소속으로 되어 있다.

현재의 칠곡향교는 교양강좌 프로그램으로 경전반, 서예반, 다도예절반, 문인화반, 전통민화반, 시조창반, 효소와약초반, 명상반, 하모니카반 등을 운영하고 있다. 매주 목요일 시행하는 전통문화아카데미에서는 한문 원전(原典)을 통한 개념과 이론 강의와 실제적 사례 중심 강의를 시행하고 있다. 향교·서원 문화재 활용 사업으로 여러 강사를 초빙하여 성리학의 뿌리 강의, 영남선비문화쌀롱 강의, 세계문화유산 “서원” 알아보기 탐방 등을 시행하고 있다. 이 밖에도 칠곡향교에서는 칠곡 관내의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전통문화 체험학습, 은행나무 음악회 및 시 낭송회, 선형 유적 답사 등을 시행하고, 매년 5월 성년의 날에는 전통 관례와 계례를 실시하며, 전통 혼례도 접수하여 시행하고 있다.

[현풍향교]

현풍향교달성군 현풍읍 상리 326-1번지에 있으며,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이다. 창건 연대는 미상이다. 임진왜란 후 현감 이영도(李詠道)가 예전의 교동에 중건하였다가, 1759년(영조 35)에 현감 김광태(金光泰)가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의 변경으로 달성군 관할이 되었다가 1995년 대구광역시 승격 당시 달성군이 편입되면서 대구광역시 소속이 되었다. 지금의 현풍향교는 교육 업무는 이어 가지 않으나 제향 업무는 지속적으로 이어 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