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보건·의료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4177
한자 保健 醫療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영숙

[정의]

대구광역시 주민의 건강을 보호·증진하기 위하여 국가·지방자치단체·보건의료기관과 보건의료인 등이 행하는 모든 활동.

[개설]

보건의료에 관한 국민의 권리·의무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을 정하고 보건의료의 수요와 공급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한 「보건의료기본법」이 2000년 1월 12일 제정되었다.

「보건의료기본법」은 보건의료의 발전과 국민의 보건 및 복지의 증진에 이바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보건의료를 통하여 모든 국민이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하고 국민 개개인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제도와 여건을 조성하며, 보건의료의 형평과 효율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기본 이념이다.

대구광역시는 1987년 5월 대구직할시 보건연구소를 설치하였으며, 개소 이후 시민 생활 관련 시험·검사·조사·연구 업무의 지속적인 증가로 몇 차례 관련 기구를 확대하며 시민들의 보건·환경 욕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왔다.

[현황]

대구광역시의 보건의료기관은 대구시가 운영관리하는 지역 보건의료기관이 30개소, 공공단체가 공공보건의료 역할을 수행하는 공공보건의료기관이 9개소로 보건의료기관 수는 총 39개소이다.

의료기관은 총 3,721개소로 상급 종합병원 5개소, 종합병원 10개소, 병원 108개소, 정신병원 1개소, 의원 1,759개소, 치과 병원 1,759개소, 치과의원 881개소, 한방병원 2개소, 한의원 867개소, 부설 의원 8개소이다.

의료법인은 29개소로 중구 2개소, 동구 1개소, 서구 3개소, 남구 1개소, 북구 7개소, 수성구 5개소, 달서구 8개소, 달성군 2개소이다.

응급의료기관은 권역응급의료센터 2개소, 지역 응급의료센터 10개소, 지역 응급의료기관 3개소이다.

대구광역시의 의약품 등 판매업소는 도매상 374개소, 약국 1,241개소, 한약국 27개소, 한약업사 53개소, 안전상비의약품 판매소 1,285개소이다.

[보건의료 관련 기관]

대구광역시 보건의료와 관련된 기관은 크게 보건환경연구원, 지역보건의료기관, 상급 종합병원, 전문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 공공보건의료기관, 달빛어린이병원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은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있는 대구광역시의 보건·환경에 관한 검사 및 연구 업무를 운영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청 산하에 설치된 직속 기관이다.

대구광역시의 지역 보건의료기관은 보건소 8개소[중구보건소, 동구보건소, 서구보건소, 남구보건소, 북구보건소, 수성구보건소, 달서구보건소, 달성군보건소], 건강생활지원센터 2개소, 보건지소 10개소, 보건진료소 8개, 건강증진센터 8개소이며, 공공보건의료기관은 9개소가 있다.

보건복지부 지정 상급 종합병원은 경북대학교병원, 영남대학교병원,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칠곡경북대학교병원이 있다.

보건복지부 지정 전문병원은 굿모닝병원[뇌혈관], 구의료재단 구병원[대장항문], 더블유병원[수지접합], 보광병원[척추], 대구참조은병원[척추], 우리들병원[척추], 푸른병원[화상], 신세계여성병원[산부인과], 효성병원[산부인과], 문성병원[신경과], 제일안과병원[안과], 누네안과병원[안과], 근로복지공단 대구병원[재활의학과], 남산병원[재활의학과]이 있다.

권역응급의료센터는 경북대학병원[허가 병상 919개, 응급 병상 32개], 영남대학교병원[허가 병상 923개, 응급 병상 30개]이며, 지역 응급의료센터는 계명대학교 동산병원[허가 병상 912개, 응급 병상 40개], 대구파티마병원[허가 병상 729개, 응급 병상 35개],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허가 병상 877개, 응급 병상 34개], 칠곡경북대학교병원[허가 병상 584개, 응급 병상 24개]이다. 지역 응급의료기관은 곽병원[허가 병상 255개, 응급 병상 10개], 대구보훈병원[허가 병상 508개, 응급 병상 14개], 대구의료원[허가 병상 544개, 응급 병상 10개], 칠곡가톨릭병원[허가 병상 160개, 응급 병상 10개], 드림병원[허가 병상 204개, 응급 병상 10개], 천주성삼병원[허가 병상 285개, 응급 병상 10개], 삼일병원[허가 병상 142개, 응급 병상 10개], 더블유병원[허가 병상 261개, 응급 병상 10개], 구병원[허가 병상 200개, 응급 병상 11개], 나사렛병원[허가 병상 111개, 응급 병상 7개]이며, 지역 응급의료시설은 대구동산병원[허가 병상 205개, 응급 병상 12개], 바로본병원[허가 병상 195개, 응급 병상 9개], 굿모닝병원[허가 병상 210개, 응급 병상 8개]이다.

공공보건의료기관 협의체는 지역 내 각종 전문질환센터, 광역센터 등 우수한 공공보건의료 인프라 시설 확충에 따라 취약계층의 의료서비스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하여 민간과 공공기관 간 연계·협력을 통한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여, 지역사회 공공보건의료 발전을 목표로 대구광역시가 주체가 되어 구성·운영하는 협의체이다. 참여 기관은 경북대학교병원, 대구보훈병원, 칠곡경북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경북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 어린이병원, 대구근로자건강센터, 대구광역치매센터, 대구광역시 시민건강놀이터, 대구권역장애인구강진료센터가 있다.

달빛어린이병원[평일 야간과 토·일요일, 공휴일에 소아경증환자의 외래진료를 담당]은 한영한마음아동병원[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