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다문화 가정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4065
한자 多文化家庭
이칭/별칭 다문화가족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영숙

[정의]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 또는 귀화 허가를 받은 자와 대한민국 국적자로 이루어진 가정.

[개설]

대구광역시는 거주하는 결혼이민자 또는 귀화 허가를 받은 자와 대한민국 국적자로 이루어진 다문화가정(多文化家庭)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하여 맞춤형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관련 법률]

다문화가족 구성원이 안정적인 가족생활을 영위하고 사회 구성원의 역할과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삶의 질 향상과 사회통합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다문화가족지원법」이 2008년 3월 21일 제정, 2008년 9월 22일부터 시행되었다. 「다문화가족지원법」에서 다문화가족이란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 제2조 제3호의 결혼이민자와 「국적법」 제2조부터 제4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로 이루어진 가족, 「국적법」 제3조 및 제4조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와 「국적법」 제2조부터 제4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로 이루어진 가족에 해당하는 가족을 말한다.

대구광역시는 대구 지역에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 및 다문화가족의 안정적인 가정생활 영위 및 자립생활에 필요한 행정적 지원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이들이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2013년 「대구광역시 외국인주민 및 다문화가족 지원 조례」[대구광역시조례 제4480호]를 제정하였다.

[현황]

대구광역시의 다문화가정은 2012년 6,265명, 2013년 6,710가구, 2014년 7,127가구, 2015년 7,332가구, 2016년 6.901가구, 2017년 9,725가구로 증가하여 매년 9.72%씩 증가하고 있다.

대구광역시 다문화 가구 가구원은 2018년 11월 기준 총 3만 201명이며, 한국인 배우자 1만 372명, 결혼이민자 5,091명, 귀화자 3,794명, 귀화 및 외국적 자녀 224명, 국내 출생 자녀가 7,674명, 기타 내국인 동거인이 2,403명, 기타 외국인 동거인이 643명이다. 대구광역시 지역별 다문화 가구 가구원은 중구 826명, 동구 4,435명, 서구 3,626명, 남구 1,734명, 북구 5,163명, 수성구 2,759명, 달서구 7,089명, 달성군 4,569명이다.

대구광역시는 다문화가정 지원 서비스의 체계화를 위하여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8개소와 거점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위기 다문화가정 긴급 지원을 통하여 대구시 거주 위기 다문화가정에 생계비, 의료비, 교육비 등 100만 원 이내 실비 지원[현금 지원]과 2차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환경개선[방범창, 잠금장치 등 보안 시설]으로 대상 가구에 70만 원 한도 내 현물지원을 한다. 대구광역시의 다문화가정 교육 지원은 다문화가정 맞춤형 대학 지원, 다문화가정 자녀 협력 사업 지원, 한국어 교육[정규 과정 1~4단계, 중도입국자녀반, 심화 과정반] 등이 있다.

대구광역시는 결혼이민자의 안정적인 정착 및 자립 역량 강화를 위하여 결혼이민자 통번역 서비스 사업, 결혼이주여성 취업 지원 프로그램, 다문화가족 특수 시책 개발 사업, 다문화가족 신문 『무지개 세상』 발행, 다문화가족 맞춤형 교육 지원사업, 폭력 피해 이주여성 보호시설 운영, 사각지대 다문화가족 지원사업 등의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대구광역시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건강한 성장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다문화가정 언어 발달 지원사업,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 학습 지원사업, 사랑의 동화책 보내기 사업, 다문화 중도입국자녀 지원사업 등을 시행한다. 또한 다문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 및 사회통합 추진을 위하여 외국인 주민 상담 및 캠프를 지원하고 다문화가정 교류 활성화 및 소통 강화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대구광역시에는 다문화가정을 위한 교육, 상담, 통번역 및 정보 제공, 역량 강화 지원 등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구군별로 1개씩 총 8개가 있다. 대구광역시는 동구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거점 센터로 운영하고 있다.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가족 프로그램[이중언어 환경 조성 프로그램, 가족 의사소통, 가족관계 향상, 자녀 교육 프로그램 등], 성평등 프로그램[배우자 부부 교육 프로그램 등], 인권 프로그램[다문화 이해 교육, 인권 감수성 향상 교육 등], 사회통합 프로그램[취업 기초 소양 교육, 취업 훈련 전문 기관 연계, 나눔 봉사단 소양 교육 및 활동, 자조 모임, 다문화 인식 개선, 결혼이민자 멘토링 사업], 상담 프로그램[가족 상담, 개인·집단상담, 사례 관리, 심리검사, 생활 지도사 사업 등], 홍보·자원 연계 프로그램[지역사회 홍보, 지역사회 네트워크] 등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특성화 사업으로 방문교육 서비스, 자녀 언어 발달 지원사업, 사례 관리[방문교육·상담], 결혼이민자 통번역 서비스, 이중언어 가족 환경 조성 등이 시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