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청년정책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3358
한자 靑年政策
영어공식명칭 Youth Policy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재강

[정의]

대구광역시가 ‘청년희망 대구’ 건설을 비전으로 시행하는 청년 대상 지원 정책.

[개설]

대구광역시는 2017년 청년정책과를 신설하여 제1차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59개 사업을 추진하였다. 2018년에는 67개 사업을 1,649억 원 규모로 확대하여 추진하였다. 주요 정책을 보면 청년정책TF, 청년정책위원회, 청년센터, 청년정책 트라이앵글모임, 청년희망 공감토크, 지역청년위원회, 대구광역시 청년센터, 청년정책연구플랫폼인 청년ON, 대구청년주간, 청춘 힙합페스티벌, 대구X청년 소셜리빙랩, 청년 내일[My Job]학교 등이다. 2020년에도 청년기본법 시행에 따라 법정기념일[9월 셋째 주 토요일]로 지정된 청년의 날을 맞아 ‘2020 대구청년주간 제1회 청년의 날’ 행사를 비대면으로 개최하고 ‘청년팝업존’과 포럼을 열었다. 또한 정책 수요자인 청년이 직접 ‘대구광역시 청년정책 과제 설계’에 참여하는 시민디자인단을 운영하였다.

[조직]

대구광역시 청년정책은 대구광역시청 일자리투자국 산하 청년정책과에서 담당하며 청년정책팀, 청년활동팀, 청년진로팀, 청년생활팀에서 20명의 공무원이 근무한다.

청년정책 집행기관인 대구광역시 청년센터는 청년 교류 플랫폼으로 2016년 대구광역시 청년 기본 조례에 근거하여 설립되었으며, 대구사회연구소가 위탁운영하고 있다. 청년정책 지원사업, 청년활동 지원사업, 청년성장 지원사업, 청년홍보 지원사업, 청년공간 지원사업 등의 사업과 청년동아리 다모디라, 청년실험실, 대구청년학교 등을 운영하고 있다.

조직은 비상근 센터장과 상근 본부장, 운영위원회가 있고, 성장기획단장 산하에 경영지원팀, 성장지원팀, 일경험지원팀, 활동지원팀이 있으며, 15명의 인력이 활동한다.

[비전과 3대 목표]

대구광역시 청년정책의 비전은 ‘2020 청년희망 대구’이다. 청년정책의 3대 목표는 ‘청년의 원활한 사회 진입을 위한 일 경험 지원 및 역량 강화’, ‘청년문화 기반 구축 및 생애이행단계별 생활 안정 추진’, ‘청년이 주체가 되는 청년 활동 지원 및 지역 자부심 고취’이다. 중점 과제는 첫째, 일자리가 있어 청년이 꿈을 키울 수 있는 ‘기회의 도시 건설’이다. 둘째, 청년이 주체가 되는 ‘참여의 도시 건설’이며, 셋째, 문화, 교육, 생활이 보장되어 청년이 살고 싶은 ‘즐거운 도시 건설’이다. 역점 분야는 취업 지원, 창원 지원, 교육 주거 복지 지원, 소통과 생활 안전 지원, 문화예술 지원이다.

[5대 프로젝트]

대구광역시 청년정책 프로젝트는 5개 분야로 청년 도전, 청년 희망, 청년 행복, 청년 자강, 청년 귀환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대학생을 위한 청년 도전 프로젝트는 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하여 4차 산업혁명 청년 체험단, 대학생 해외 인턴 사업, 청해진대학 지원사업이 있다. 대학 생활 지원을 위한 프로젝트는 대학생 학자금대출 부담 경감 지원, 대구청년 응원 기업 상생 사업, 대구행복기숙사 건립이 있다. 취업·창업 지원을 위한 프로젝트는 대학생 국내 인턴 사업, 대학생 취업 패키지 지원사업, 스타기업 히어로 양성 사업, 대학 리빙랩 사업이 있다.

둘째, 취업준비생 알바 니트를 위한 청년 희망 프로젝트는 대구형 청년수당으로 청년 사회 진입 활동 지원금이 있다. 진로탐색 지원을 위한 프로젝트는 대구청년 학교 딴길, 청년생활종합상담소, 청년 여성 멘토링 프로젝트가 있다. 청년 돌봄 프로젝트로는 대구청년 아르바이트 돌봄 사업과 청년희망적금이 있다. 마지막으로 일 경험 및 취업 지원을 위한 프로젝트는 청년팝업레스토랑, 청년 일자리 디딤돌 사업, 사회경제적 청년 인턴 사업 등의 정책이 있다.

셋째, 입직 청년을 위한 청년 행복 프로젝트는 결혼 및 주거 지원 정책으로 청년 매입임대주택사업, 청년 마더박스 지급, 청년 행복주택 사업, 신혼부부 전세자금 융자 이자 지원사업, 우리 둘의 빛나는 결혼식 지원사업이 있다. 창업지원 프로젝트는 데이터 기반 스타트업 육성 사업, 청년 창업형 후계 농업인 선정 및 지원, 업사이클아트 청년창업 프로젝트 등이 있으며, 자산 형성을 위한 프로젝트는 청년저축계좌사업이 있다. 예술가 육성 지원 프로젝트는 신진 예술가 육성 사업과, 차세대 문화예술 기획자 양성사업, 그리고 청년 예술가 육성 지원사업 등이 있다.

넷째, 청년 자강 프로젝트는 공간 조성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청년문화 특화거리 조성, 청년공감 청년공간 운영 사업이 있다. 청년문화 프로젝트로는 대구청년주간을 개최하며, 사회참여 프로젝트로는 대구 청년정책네트워크와 청년 소셜리빙랩을 운영한다. 지원 기반 강화를 위한 프로젝트로는 대구청년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다섯째, 청년 귀환 프로젝트는 청년 유입 지원을 위한 청년 귀환 프로젝트가 있고, 대구 정체성 찾기 프로젝트로 대구청년 지역학 교실 청년상화학교가 있다.

[현황]

대구광역시에서 청년정책을 집행하고 지원하는 대표적인 기관은 대구광역시 청년센터 활동그래와 대구광역시 청년센터 공감그래, 대구광역시 청년센터 다온나그래 등이 있다. 대구광역시 청년센터 활동그래는 대구광역시 중구 남일동 115-1 3층에 있으며, 대구광역시 청년센터 공감그래는 대구광역시 중구 상서동 23-1 9층에, 대구광역시 청년센터 다온나그래 는 대구광역시 북구 대현동 259-7 3층에 각각 자리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