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첨단의료복합단지조성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3357
한자 尖端醫療複合團地造成
영어공식명칭 Development of Medical Innovation Complex
이칭/별칭 Medicity,Medivalley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재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8년 3월 - 첨단의료복합단지 지정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9년 8월 - 첨단의료복합단지 선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9년 12월 16일 -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지구 지정 고시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0년 12월 14일 -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설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1년 3월 21일 -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 제1차 3개년 계획 확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3년 5월~2015년 8월 - 커뮤니케이션센터 완공 및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입주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3년 11월 - 정부 핵심 연구시설 4개 센터 준공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3년 12월 18일 -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 제2차 3개년 계획 확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4년 12월 - 한국뇌연구원 준공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5년 6월~10월 -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기술응용센터, 중소기업공동연구센터[한국메디벤처센터], 3D 융합기술지원센터 준공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7년 5월 - 첨단의료복합단지 제3차 종합계획 수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9년 3월 -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 식약처 지정 의료기기 비임상시험실시[GLP] 기관으로 지정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혁신도시에 세계 최고수준의 의료 연구기관과 의료 기업을 유치하는 정책.

[개설]

대구광역시는 미래 신성장동력산업으로 의료산업에 주목하고 세계 최고수준의 첨단의료복합단지를 조성하여 글로벌 의료 기업 투자 유치를 위한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첨단의료복합단지는 대구광역시 동구 신서동 대구혁신도시 105만㎡에 2009년부터 2038년까지 총 사업비 4조 6000억 원을 투자하여 조성한다.

[현황]

첨단의료복합단지에는 신약개발지원센터,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실험동물센터, 의약생산센터 등 4개 전문센터가 들어 있어 최신 개발 장비와 시험 장비 같은 인프라를 이용할 수 있다. 분야별로 전주기적으로 기술지원을 제공하며, 식약처,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 동구 공무원이 상주하면서,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과 함께 인허가 컨설팅, 기술 사업화, 연구실 임차와 분양, 토지 분양과 입주 등 행정 지원을 원스톱(one-stop)으로 제공한다. 또한, 첨단의료복합단지 안팎의 대학, 3D 융합기술지원센터, 한국뇌연구원, 실험동물자원은행, 방사광가속기연구소 등 국책 연구기관과 산학연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2020년 첨단임상시험센터가 설립되어 첨단의료복합단지 입주 기업이 선순환 의료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업무는 대구광역시 혁신성장국 혁신성장정책과 의료허브조성팀에서 담당하며 4명의 공무원이 근무한다. 첨단의료복합단지 운영기관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은 이사장 아래 전략기획본부, 신약개발지원센터,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실험동물센터, 의약생산센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441명이 근무하고 있다.

[비전과 전략]

첨단의료복합단지의 비전은 첨단 의료산업 분야에서 최고 역량을 갖춘 글로벌 R&D 허브 조성이다. 핵심 전략은 우수 연구 인력과 기관 유치, 연구개발 활성화 환경 조성 및 핵심 시설 투자 기반 구축이며, 목표는 기업의 애로 기술 해결을 위한 기술 서비스 제공, 제품화 실증 지원을 통한 강소기업 육성, 글로벌 수준의 기술이전 및 미래 유망 기술 확보를 통한 신규 BM 창출, 의료산업 생태계 활성화 등이다.

[연혁]

2008년 3월, 첨단의료복합단지 지정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었다. 2009년 8월 첨단의료복합단지로 선정[대구-합성신약, IT기반/오송-바이오신약, BT기반]되어, 2009년 12월 16일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지구를 지정 고시하였고, 2010년 12월 14일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을 설립하였다. 2011년 3월 21일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 제1차 3개년 계획이 확정되었다. 2011년 10월 커뮤니케이션센터의 기공식이 있었으며, 2013년 5월~8월 커뮤니케이션센터를 완공하였고,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 입주하였다. 사무실과 숙소 등 총 사업비 403억 원 규모의 정부 시설 및 커뮤니케이션센터가 설립되었다.

2013년 11월 총 사업비 3146억 원을 들여 정부 핵심 연구시설 4개 센터[신약개발지원센터,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실험동물센터, 임상시험신약생산센터]를 준공하였다. 2013년 12월 18일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 제2차 3개년 계획이 확정되었으며, 2014년 12월 총 사업비 1176.5억 원의 한국뇌연구원이 준공되었다. 2015년 6월~10월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기술응용센터, 중소기업공동연구센터[한국메디벤처센터], 3D 융합기술지원센터를 준공하였다. 2017년 5월 첨단의료복합단지 제3차 종합계획을 수립하였고, 2019년 3월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 식약처 지정 의료기기 비임상시험실시[GLP] 기관으로 지정되었다.

2020년 현재 90개 기업과 기관이 단지에 입주하고 있다. 국가 첨단 의료 허브 구축·육성을 위하여 2013~2023년에 사업비 6128억 원을 투자하고 있으며, 첨단 의료 연구개발 센터 및 행정 지원 인프라를 확충하고, 첨단임상시험센터를 설립하며, 의료기술시험훈련원 설립으로 첨단 의료 기술교육 및 산업화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첨단의료복합단지 의료 기업 유치를 위하여 글로벌 의료 기업과 국내 대기업 유치에 필요한 투자 인센티브를 마련하고 전략적 홍보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은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동 1120에 있고, 대구경북 첨단의료복합단지대구광역시 동구 신서동 대구혁신도시에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