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도시브랜드 개발 정책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3234
한자 都市- 開發政策
영어공식명칭 Urban Brand Development Policy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재강

[정의]

대구광역시의 인지도와 호감도, 이미지와 평판을 높이기 위하여 심벌, 캐릭터, 도시브랜드 슬로건 등을 개발하는 정책.

[개설]

대구광역시는 도시브랜드 개발 정책의 목표로 활기차고 개방적인 대한민국 매력 도시 대구 이미지 구축으로 설정하였고, 정책 방향은 도시브랜드 정체성 확립, 도시브랜드 콘텐츠 혁신, 도시공동체 정신 창출로 정하였으며, 중점 시책은 도시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도시브랜드 콘텐츠 제작 및 확산, 시민과 함께 하는 도시브랜딩 체계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도시브랜드의 연혁을 보면 다음과 같다. 상징물로 1972년 전나무와 목련, 1983년 독수리를 지정하였으며, 1996년 C.I.P(City Identity Program)를 지정하였다. 그리고 2000년 ‘패션이 캐릭터’를, 2004년 브랜드 슬로건으로 섬유 패션도시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Colorful DAEGU’를 지정하였다. 그리고 시대 변화에 부응하기 위하여 섬유패션도시, 과학기술중심도시, 공연문화도시, 글로벌 지식경제자유도시, 솔라시티, 메디시티 등 개별 브랜드를 통합한 새로운 브랜드 슬로건을 개발하고자 2015년 대구 도시브랜드를 만드는 시민 모임을 150명으로 출범하였고, 시민 모임 토론회 5회와 전문가 개발 TF회의 14회, 브레인스토밍을 통하여 다양한 안을 개발하였다. 그리하여 2018년에는 브랜드 디자인을 심화 개발하기 위한 전문가 개발 TF회의와 도시브랜드위원회, 시민 선호조사를 하여 2019년에 개선안을 발표하였다.

대구광역시는 2020년 국가브랜드 대상 전기차 선도도시 부문에 3년 연속 선정되었고, ‘메디시티 대구’가 대한민국 대표브랜드에 6년 연속 선정되었다. 대구광역시는 도시브랜딩 콘텐츠 홍보 및 확산을 위하여 증강현실 포토존 설치, 옥외광고물 설치, 웹툰 제작, 서포터즈 운영, 이모티콘 개발, 대구이야기 SNS 운영, 타시도순회 전시 등을 하고 있다. 지역의 볼거리, 즐길거리, 명소 등을 유명 유튜버와 공무원이 함께 소개하는 홍보영상 시리즈 「마! 이게 대구다」 6편을 제작하여 호평을 얻었다.

도시브랜드 개발 정책 담당 조직은 민선 6기 출범에 따라 2014년 9월 5일 경제부시장 직속 부서로 도시브랜드담당관을 신설하였다. 2017년 1월 1일 행정부시장 직속 부서화하였다. 홍보브랜드담당관 아래 도시브랜드혁신팀과 도시브랜드혁신팀이 있으며 공무원 7명이 근무하고 있다. 홍보브랜드담당관은 홍보행정계획 총괄·조정, 시정 및 시책 홍보, 시정홍보 영상물 제작 및 홍보, 홈페이지 운영·관리, 도시브랜드 정책 개발 및 홍보에 관한 업무를 주로 한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