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3076
한자 金秋月
영어공식명칭 Kim Chuwol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석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7년연표보기 - 김추월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22년 10월 19일 - 김추월 한남권번 연예회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27년 2월 14일~1927년 2월 20일 - 김추월 조선가무대회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28년 3월 19일~1928년 3월 20일 - 김추월 조선음악대회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30년 9월 22일 - 김추월 팔도명창대회 공연
몰년 시기/일시 1933년 2월 14일연표보기 - 김추월 사망
출생지 대구 - 대구광역시
성격 국악인
성별 여성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 출신의 판소리 여성 국악인.

[개설]

김추월(金秋月)[1897~1933]은 1897년 지금의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났다. 대구의 기생조합에서 소리를 배운 후 상경하여 송만갑, 이동백 등에게 배워 이름을 얻었다. 「육자배기」와 「춘향가」, 「심청가」에 뛰어났으며, 특히 「육자배기」와 「이별가」, 「심청자탄」에 특출하였다. 김추월의 소리는 고제 동편제의 모습을 많이 지니고 있어 기교가 없고 소박한 멋이 있다.

[활동 사항]

김추월은 대정권번과 한남권번 소속으로 활동하였고, 조선음악협회와 연악회에 참여하는 등 다양한 예술 활동을 하였다. 대표적인 공연으로 1922년 10월 19일 한남권번 연예회[우미관]와 1927년 2월 14일부터 20일까지 조선가무대회[우미관], 1928년 3월 19일부터 20일까지 조선음악협회의 제2회 공연인 조선음악대회[우미관], 1930년 9월 22일 팔도명창대회[조선극장] 등이 있다. 그리고 1927년 4월 13일 국악방송에 처음 출연한 이래 총 8회 출연하였다.

김추월은 일본축음기상회와 일본콜럼비아축음기주식회사 음반에 「육자배기」, 「춘향전전집」, 「이별가」, 「심청자탄」 등 많은 유성기 음반을 남겼다.

김추월은 1933년 2월 14일 37세를 일기로 요절하였다.

[저술 및 작품]

김추월이 일제강점기에 취입한 음반은 일축조선소리반 K594-A 고대 소설극 『춘향전』「이몽룡 광한루 구경가」[1][이동백·김추월·신금홍·장구 이흥원], 일축조선소리반 K611-B 고대 소설극 『춘향전』「재봉가」[6][이동백·김추월·신금홍·장구 이흥원], Columbia 40195-A[21129] 『삼국지』「조조 군사 사향가」[고당상][상][김추월], Columbia 40195-B[21130] 『삼국지』「조조 군사 사향가」[고당상][하][김추월], Regal C106-A[20583] 『춘향전』「이별가」[상][김추월·장구 이흥원], Regal C106-B[20584] 『춘향전』「이별가」[하][김추월·장구 이흥원] 등이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3.09.15 내용 변경 [상세정보]|[개설]|[활동 사항] 김추월 몰년을 1933년 2월 14일로 일괄 수정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