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3072
한자 洪宙一
영어공식명칭 Hong Juil
이칭/별칭 해동(海東)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일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75년 9월 22일연표보기 - 홍주일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06년 - 홍주일 일본 규슈 구마모토로 유학
활동 시기/일시 1907년 - 홍주일 평안북도 백마군의 옥천학교 교사로 근무
수학 시기/일시 1908년 - 홍주일 일본 도쿄 세이소쿠예비학교 입학
활동 시기/일시 1910년 - 홍주일 대구 협성학교 교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913년 - 홍주일 재건 달성친목회 결성 참여
활동 시기/일시 1916년 - 홍주일 대구권총사건 가담
활동 시기/일시 1917년 - 홍주일 징역 5월형 언도
활동 시기/일시 1921년 - 홍주일 달성유치원 설립
활동 시기/일시 1921년 9월 - 홍주일 교남학원 설립 주도
활동 시기/일시 1927년 7월 23일 - 홍주일 신간회 대구지회 설립 준비위원 선임
몰년 시기/일시 1927년 8월 1일연표보기 - 홍주일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97년연표보기 - 홍주일 건국포장 추서
추모 시기/일시 1999년연표보기 - 홍주일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출생지 오진리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오진리
학교|수학지 세이소쿠예비학교 - 일본 도쿄시
활동지 대구 - 대구광역시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제2묘역 - 대전광역시 유성구 갑동 83-7
성격 독립운동가|교육운동가
성별 남성
대표 경력 교남학교 교장|신간회 대구지회 설립 준비위원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운동가.

[개설]

홍주일(洪宙一)[1875~1927]은 1875년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오진리에서 태어났다. 항일 비밀결사 재건 달성친목회 결성에 참여하였고, 독립운동 자금을 모집하기 위하여 대구권총사건에 가담하였다. 호는 해동(海東)이다.

[활동 사항]

홍주일은 1906년 일본 구마모토[熊本]로 유학하여 어학을 배운 뒤 도쿄[東京] 연수학관에서 4개월 정도 머무르며 수학을 익혔다. 1907년 귀국하여 평안북도 백마군의 옥천학교(玉川學校)에서 교사로 근무하였고, 1908년 다시 일본 도쿄에 유학하여 세이소쿠예비학교[正則豫備學校]를 다녔다. 1909년 경상북도 안동의 사립 예안학교(禮安學校), 1910년 봄에는 경상남도 구포(龜浦)의 구명학교(龜明學校) 교사로 부임하여 학생들을 가르쳤다. 1910년 가을 대구 협성학교(協成學校) 교사로 부임하면서 대구에 정착하였다.

홍주일은 천도교 대구교구장을 맡고 있던 1913년 2월 20일 서상일(徐相日) 등과 함께 1908년 계몽운동을 진작시킬 목적으로 결성되었다가 일제 강점으로 활동이 중단된 달성친목회를 재건하였다. 재건 달성친목회는 이후 활발하게 활동을 전개하였지만 배일사상을 고취한다는 혐의로 1915년 9월 일제 당국에 의하여 강제 해산되었다.

홍주일은 1916년 8월 정운일(鄭雲馹)·최병규(崔丙圭)·최준명(崔俊明)·김진만(金鎭萬)·김진우(金鎭瑀)·이시영(李始榮)·김재열(金在烈)·권국필(權國弼)·임병하(任炳夏)·서상준(徐相俊)과 함께 독립운동 자금을 모집하기 위하여 대구의 부호이자 서상준의 아버지인 서우순(徐祐淳)의 현금을 탈취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1916년 9월 4일 정운일·김진우·김진만·최병규 등이 서우순의 집으로 찾아갔지만 잠에서 깬 서우순이 비명을 지르고 집사 우도길이 달려오자 권총을 쏘며 달아났다. 이후 최병규가 남긴 신발이 단서가 되어 홍주일을 비롯한 동지들이 일제 경찰에게 체포되었다. 홍주일은 1917년 징역 5월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렀다.

홍주일은 출소한 뒤 서상일이 운영하던 태궁상회의 직원으로 일하면서 대구 3·1운동 준비에 참여하였으나 3월 3일경 일제 관헌의 예비검속으로 격리 조치되었다. 1920년 6월 조선교육회 발기회에 참여하였고, 1921년 달성유치원을 설립하였다. 1921년 9월 정운기(鄭雲騏)·김영서(金永瑞) 등과 함께 교남학원(嶠南學院)을 설립하였고, 1923년 6월에는 대구에서 펼쳐진 민립대학설립운동을 위한 대구지방부의 집행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27년 6월 교남학교 교장에 취임하였다.

홍주일은 1927년 7월 23일 중외일보 대구지국에서 열린 신간회 대구지회 설립 준비회에 참석하여 준비위원으로 선임되었지만 8월 1일에 사망하였다.

[묘소]

홍주일의 묘소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갑동 83-7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제2묘역에 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홍주일의 공적을 기려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