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3017
한자 蔡鶴基
영어공식명칭 Chae Hakgi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임삼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01년 6월 1일연표보기 - 채학기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19년 4월 26일 - 채학기 대구 미대동 만세 시위 참가
활동 시기/일시 1919년 4월 28일 - 채학기 대구 미대동 2차 만세 시위 참가
활동 시기/일시 1919년 5월 17일 - 채학기 대구지방법원에서 징역 8월형 언도
몰년 시기/일시 1987년 3월 20일연표보기 - 채학기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92년연표보기 - 채학기 대통령표창 추서
출생지 미대동 - 대구광역시 동구 미대동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미대동 - 대구광역시 동구 미대동 지도보기
활동지 여봉산 - 대구광역시 동구 미대동 지도보기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 출신의 독립운동가.

[개설]

채학기(蔡鶴基)[1901~1987]는 1901년 6월 1일 지금의 대구광역시 동구 미대동에서 태어났다. 1919년 4월 26일 인천채씨(仁川蔡氏) 집성촌인 미대동에서 마을 차원의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활동 사항]

채학기는 1919년 4월 같은 마을에 사는 채갑원(蔡甲元)이 가져온 「독립선언서」를 읽고 함께 독립의 필요성을 절감하였다. 이후 「독립선언서」와 더불어 자신이 지향하는 바의 독립에 관한 내용을 격문으로 만들어 마을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면서 만세운동의 필요성을 호소하였다.

채학기는 1919년 4월 26일 늦은 시간 채갑원·채봉식(蔡奉植)·채희각(蔡熙覺) 등과 함께 미대동 여봉산(礪峯山)에 올라 대한독립만세를 소리 높여 외쳤다. 이틀 뒤인 4월 28일 다시 여봉산에 올라 채갑원·채봉식·채희각·채경식(蔡敬植)·채명원(蔡命元)·채송대(蔡松大)·권재갑(權再甲) 등과 함께 대한독립만세를 외쳤다. 이후 채학기는 팔공주재소(八公駐在所) 소속 일제 경찰에게 체포되어 대구헌병대로 압송되었고, 1919년 5월 17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징역 8월형을 언도받아 옥고를 치렀다. 채학기는 1987년 3월 20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채학기의 공적을 기려 1992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채학기 등을 기리기 위하여 1919년 8월 15일 여봉산에 ‘미대마을 3·1독립만세운동 기념비’가 건립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