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955
한자 張相轍
영어공식명칭 Chang Sangcheol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일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70년 10월 17일연표보기 - 대구광역시 중구 덕산동에서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05년 7월 - 장상철 대구광문사 사장 취임
활동 시기/일시 1907년 6월 - 장상철 대한자강회 가입
활동 시기/일시 1908년 5월 - 장상철 대한협회 대구지회 평의원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11년 5월 - 장상철 일본시찰단 참가
활동 시기/일시 1913년 - 장상철 매일신보사 경북지국장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19년 4월 - 장상철 대구 자제단 발기인 참여
활동 시기/일시 1927년 - 장상철 중추원 참의 역임
몰년 시기/일시 1930년 10월 20일연표보기 - 장상철 사망
출생지 덕산동 - 대구광역시 중구 덕산동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대구광역시 - 대구광역시
활동지 대구광역시 - 대구광역시
성격 친일반민족행위자
성별 남성
대표 경력 중추원 참의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 출신의 친일반민족행위자.

[개설]

장상철(張相轍)[1870~1930]은 1870년 10월 17일 대구부 덕산정 131번지[지금의 대구광역시 중구 덕산동]에서 태어났다. 금연상채회대한협회 대구지회에서 활동하였으나 이후 조선총독부의 자문기관인 중추원의 참의를 지내는 등 친일반민족 행적을 이어 갔다.

[활동 사항]

장상철은 1905년 7월 계몽운동 단체인 대구 광문사(廣文社)의 사장으로 활동하였다. 1907년 1월 29일 대구광문사 내 문회(文會)를 대동광문회(大東廣文會)로 변경하면서 국채보상운동을 결의하고 금연상채회(禁煙償債會)를 조직할 때 장상철은 평의원으로 활동하였다. 1907년 6월 대한자강회의 회원으로 활동하였고, 1908년 5월에는 대한협회 대구지회 평의원으로 활동하였다. 1908년 9월부터 1909년 3월까지 대구 사립보명학교의 교장으로 교육계에 종사하였다.

장상철은 1911년 5월 동양척식주식회사가 주최하는 일본시찰단에 참가한 뒤 친일 협력의 태도를 보였다. 1913년 조선총독부의 기관지인 매일신보사의 경북지국장이 된 뒤 1917년 매일신보사로부터 지국 발전의 성과가 현저하다는 평가를 받고 은시계를 수여받았다. 장상철3·1운동 시기인 1919년 4월 대구 자제단(自制團)의 발기인이 되어 독립 만세 운동을 방해하였다. 또 1919년 9월 조선총독부 주최의 시국강연에 경상북도 대표로 참여하였다. 1920년에는 유도진흥회 경북지부 총무로 활동하며 경북 유림 내지[일본] 시찰단에 참가하였다. 1920년 친일단체인 국민협회 경북지부 평의원으로 활동하였으며 1927년 조선총독부 자문기구인 중추원 참의가 되었다. 장상철은 1928년에 일본 정부로부터 쇼와대례기념장을 받았으며, 1930년 10월 20일 사망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