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이창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923
한자 李暢基
영어공식명칭 Lee Changgi
이칭/별칭 이병기(李炳基)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임삼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13년 12월 24일연표보기 - 이창기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28년 - 이창기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 입학
수학 시기/일시 1931년 11월 - 이창기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 퇴학
활동 시기/일시 1932년 4월 - 이창기 청년동지회 결성
활동 시기/일시 1938년 2월 19일 - 이창기 일제 경찰에게 체포
활동 시기/일시 1941년 3월 7일 - 이창기 대구지방법원에서 면소 처분으로 석방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7년 - 이창기 대통령표창 수훈
몰년 시기/일시 1978년 9월 13일연표보기 - 이창기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90년연표보기 - 이창기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출생지 왜관리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
학교|수학지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 - 대구광역시 지도보기
활동지 대구 - 대구광역시
활동지 왜관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대표 경력 청년동지회 회원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이창기(李暢基)[1913~1978]는 1913년 12월 24일 지금의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에서 태어났다. 고향 왜관에서 청년동지회(靑年同志會)를 결성하고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병기(李炳基)라는 이름으로도 활동하였다.

[활동 사항]

이창기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 4학년 재학 중 친일 교유(敎諭) 배척을 위한 동맹휴학을 주도하여 퇴학당한 뒤 왜관으로 귀향하여 1932년 4월 무렵 이두석(李斗錫)·정행돈(鄭行敦)·박몽득(朴夢得) 등과 청년동지회를 결성하였다. 청년동지회는 주로 농촌 계몽운동과 소비조합운동을 전개하였다. 특히 야학을 열어 한글을 강습하고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활동을 펼쳤다. 또한 독서회를 표방한 항일 비밀결사 성진회(惺進會)를 조직하여 농촌 계몽과 더불어 야학에서 한글 강습을 하면서 민족의식을 드높였다.

이창기는 1938년 2월 19일 일제 경찰에게 체포되어 1939년 10월 25일 대구지방법원 검사국[현 대구지방검찰청]으로 이송되었다. 이후 미결수로 고초를 겪다가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기소되었지만 1941년 3월 7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열린 예심에서 면소(免訴) 처분을 받고 석방되었다. 이창기는 1978년 9월 13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이창기의 공적을 기려 1977년 대통령표창을 수여하였고,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2000년 5월 5일 ‘애국지사이창기선생추모비(愛國志士李暢基先生追慕碑)’가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의 애국동산에 건립되었다.

[참고문헌]
  • 『고등경찰요사(高等警察要史)』 (경상북도 경찰부, 1934)
  •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http://815gb.or.kr)
  • 공훈전자사료관(http://e-gonghun.mpva.go.kr)
  • 독립운동관련판결문(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Main.do)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