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이상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862
한자 李相朝
영어공식명칭 Lee Sangjo
이칭/별칭 이인철(李仁喆)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집필자 김일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04년연표보기 - 이상조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21년 4월 - 이상조 휘문고등보통학교 입학
수학 시기/일시 1924년 5월 - 이상조 휘문고등보통학교 중퇴
수학 시기/일시 1924년 9월 - 이상조 니혼대학 문예과 입학
활동 시기/일시 1931년 11월 - 이상조 사회과학연구회 결성
활동 시기/일시 1931년 11월 - 이상조 대구연초전매지국 적색노동조합 조직
활동 시기/일시 1933년 4월 20일 - 이상조 대구지방법원에서 징역 4년형 언도
출생지 성산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거주|이주지 창원 - 경상남도 창원시
거주|이주지 대구 - 대구광역시
학교|수학지 휘문고등보통학교 - 서울특별시
학교|수학지 니혼대학 - 일본 도쿄시
활동지 창원 - 경상남도 창원시
활동지 대구 - 대구광역시
활동지 도쿄 - 일본 도쿄시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대표 경력 조선공산주의자협의회 경북대표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이상조(李相朝)[1904~?]는 1904년 지금의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에서 태어났다. 대구에서 조선공산주의자협의회대구연초전매지국 적색노동조합을 결성하여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이인철(李仁喆)이라는 이름으로도 활동하였다.

[활동 사항]

이상조는 경상남도 창원의 부유한 농가 출신이다. 1921년 4월 서울의 사립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였으나 1924년 5월 중퇴하였고, 9월에 일본으로 유학하여 도쿄[東京] 니혼[日本]대학 문예과에 입학하였다. 유학 중 이상조는 신간회 도쿄지회 및 도쿄조선청년동맹, 프로예술동맹 도쿄지부 등에 가입하여 활동하였고, 오사카[大阪]조선청년동맹과 재일본조선청년동맹을 조직하였다. 귀국 후에는 신간회 마산지회와 마산청년동맹, 경남청년동맹에서 활동하였다. 이때 창원 내서면에 있던 호신학교(濠信學校)에서 동맹 휴학이 일어났는데, 이상조는 이를 지도한 혐의로 일제 경찰에게 체포되어 1928년 10월 25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1년형을 언도받았다.

이상조는 1931년 7월 25일 대구에서 권대형·서인식·이응규·김계영 등과 함께 사유재산제도를 부인하고 공산주의사회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노동조합과 농민조합을 조직하였다. 나아가 연락 도모를 위한 조선공산주의자협의회를 조직하고자 하였으나, 파벌의 원인이 된다고 하여 농민조합·노동조합 중심으로 선전 출판물을 발행하기로 결의하였다. 8월 권대형·서인식·김기선·이응규 등과 함께 『코뮤니스트』와 『봉화(烽火)』 1호, 9월에 『코뮤니스트』와 『봉화』 2호, 11월에 『코뮤니스트』와 『봉화』 3호를 각각 제작하여 대구·경상남도·전라남도·전라북도 각지에 배포하였다. 10월 말부터 1932년 2월 초까지 6회에 걸쳐 혁명적노동조합 건설을 선전할 목적으로 「대구노동자신문」을 제작하여 권대형과 대구연초전매공장의 정경주, 경북고무공장의 고광륜 등에게 전파하였다.

이상조는 1931년 11월 박영선·윤인조 등과 공산주의의 대중화를 위하여 대구에서 사회과학연구회를 조직하고, 정경주·우주기·이성출·배돌이 등과 대구연초전매지국 적색노동조합을 조직하였다. 하지만 일본에서 대구로 발송된 「조선 전위당 볼세비키의 임무」라는 출판물과 대구 보병 80연대 격문사건이 빌미가 되어 동생 이상욱·이현옥과 함께 일제 경찰에게 체포되었다. 이상조는 1933년 4월 20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과 「출판법」 위반 혐의로 징역 4년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