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이상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859
한자 李相度
영어공식명칭 Lee Sangdo
이칭/별칭 이상도(李相道),이상응(李相應),보천(普天)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장세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7년 2월 9일연표보기 - 이상도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22년 - 이상도 베이징 평민대학 상과 유학
활동 시기/일시 1923년 3월 - 이상도 베이징조선유학생회 조직
활동 시기/일시 1924년 4월 - 이상도 상하이청년동맹 참여
활동 시기/일시 1927년 12월 - 이상도 중국동부한인청년동맹 결성
활동 시기/일시 1928년 8월 - 이상도 상하이에서 일제 경찰에게 체포
활동 시기/일시 1928년 11월 - 이상도 신의주지방법원에서 징역 2년형 언도
활동 시기/일시 1929년 6월 - 이상도 평양복심법원에서 항소 기각으로 징역 2년형 확정
몰년 시기/일시 1944년 2월 16일연표보기 - 이상도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90년연표보기 - 이상도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출생지 수학지 -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 지도보기
학교|수학지 평민대학 - 중국 베이징시
활동지 중국 - 중국
활동지 대구 - 대구광역시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대표 경력 베이징한인청년회 집행위원

[정의]

일제 강점기 대구 출신의 독립운동가.

[개설]

이상도(李相度)[1897~1944]는 1897년 2월 9일 지금의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에서 태어났다. 1920년대 중국에 머물며 베이징조선유학생회·상하이청년동맹·베이징한인청년회에서 활동하였다. 호는 보천(普天)이고, 이상도(李相道)·이상응(李相應)이라는 이름으로도 활동하였다.

[활동 사항]

이상도는 1910년대 후반부터 1922년 초까지 대구의 사립 명신여학교(明新女學校) 교사로 근무하다가 1922년 중국 베이징 평민대학(平民大學)에 유학하였다. 베이징에 머물며 김원봉(金元鳳)이 이끄는 의열단(義烈團)에 가입하였고, 1923년 3월에는 임유동(林有棟)과 함께 베이징조선유학생회를 조직하여 베이징 지역의 한인 청년들을 규합해 나갔다.

이상도는 1923년 10월 고향 대구에 잠입하여 최윤동(崔胤東) 등과 함께 독립운동 자금 모집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후 중국 상하이로 돌아가 1924년 4월 윤자영(尹滋瑛)·김상덕(金尙德) 등이 조직한 사회주의 성향의 상하이청년동맹에 참여하였다. 1927년 5월 베이징 평민대학에서 베이징한인청년회가 조직되었는데, 이상도는 정치부 임원과 집행위원을 맡아 당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던 민족유일당 운동을 적극 지원하였다. 평민대학을 졸업한 뒤 12월에 상하이청년회 주최 임시총회에 베이징 지역 청년회의 대표로 참여하여 중국동부한인청년동맹을 결성하였다. 이후 중국동부한인청년동맹은 중국 동북지방의 청년단체들과 통합하여 1928년 5월 재중국한인청년동맹(在中國韓人靑年同盟)으로 발전하였는데, 이상도는 그 과도기적 조직인 중국본부한인청년동맹의 중국집행위원에 선임되었다.

이상도는 1928년 8월 상하이에서 변동화(邊東華)·황의춘(黃義春) 등과 함께 일제 경찰에게 체포되었다. 이후 국내로 압송되어 11월 신의주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형을 언도받았고, 1929년 6월 평양복심법원에서 항소 기각으로 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치렀다. 이상도는 1944년 2월 16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이상도의 공적을 기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