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이경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827
한자 李敬燾
영어공식명칭 Lee Gyeongdo
이칭/별칭 해암(海巖)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장세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17년 4월 9일연표보기 - 이경도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40년 5월 - 이경도 중국군 소북정진군 장교 활동
활동 시기/일시 1943년 6월 - 이경도 한국광복군 입대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7년 - 이경도 건국포장 수훈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0년 - 이경도 건국훈장 애국장 수훈
몰년 시기/일시 1998년 1월 2일연표보기 - 이경도 사망
출생지 공평동 - 대구광역시 중구 공평동 지도보기
활동지 시안 - 중국 산시성 시안시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대표 경력 한국광복군 제2지대 대원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 출신의 독립운동가.

[개설]

이경도(李敬燾)[1917~1998]는 1917년 4월 9일 지금의 대구광역시 중구 공평동에서 태어났다. 중국 이주 후 중국군에 입대하여 항일전쟁을 치르다가 한국광복군에 입대하여 활동하였다. 호는 해암(海巖)이다.

[활동 사항]

이경도는 1930년대 후반 중국으로 건너가 중국 국민당 정부의 중국군에 입대하여 항일전쟁에 참가하였다. 1940년 5월에는 중국군 제10전구(戰區) 소속인 소북정진군(蘇北挺進軍) 장교로 활동하였다. 이 무렵 대한민국임시정부는 군사특파단을 조직하고 본격적인 항일전쟁을 통하여 독립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이에 중국 서북부의 시안[西安] 일대를 거점으로 일본군 내 한국인 사병, 중국군 내 장교로 복무하는 청장년들을 포섭하여 한국광복군으로 편입시켰다.

특히 1940년 9월 대한민국임시정부 산하에 한국광복군이 창설될 무렵,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군에 복무하다가 대한민국임시정부에 합류한 노태준(盧泰俊) 등이 일본군과의 접전 지대인 산시성[山西省] 일대로 진출하여 한국인 대원들을 징모하였다. 그 과정에서 이경도는 한국광복군 특파원으로 활동하던 노태준과 연결되었다.

이경도는 한국광복군의 소북(蘇北) 지구 특파원에 임명되어 광복군 특파원 이규학(李圭鶴)[이명 이지일(李志一)] 등과 장쑤성[江蘇省] 일대에서 대일 정보 수집 및 항일전쟁 선전, 초모 공작 등을 전개하였다. 이후 노태준과 함께 항일 공작을 전개하던 중 1943년 6월 한국광복군 제2지대에 합류하였다. 이경도는 1945년 8월 광복 이후 대한민국 국군에 투신하여 장교로 근무한 후 예편하였고, 1998년 1월 2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이경도는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받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