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안종식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770
한자 安鍾植
영어공식명칭 An Jongsik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최재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13년 10월 3일연표보기 - 안종식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40년 3월 9일 - 안종식 죽마계 조직
활동 시기/일시 1940년 7월 18일 - 안종식 제1회 죽마계 정기총회 참여
활동 시기/일시 1941년 4월 19일 - 안종식 죽마계 경성지부 위원 겸 사업부 부원 선임
몰년 시기/일시 1945년 4월 25일연표보기 - 안종식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14년연표보기 - 안종식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출생지 북내동 - 대구광역시 중구 북내동 지도보기
학교|수학지 니혼대학 - 일본 도쿄시
활동지 도쿄 - 일본 도쿄시
활동지 서울 - 서울특별시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대표 경력 죽마계 경성지부 위원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 출신의 독립운동가.

[개설]

안종식(安鍾植)[1913~1945]은 1913년 10월 3일 지금의 대구광역시 중구 북내동에서 태어났다. 일본 유학 중 항일 비밀결사 죽마계(竹馬契) 결성에 참여하고 경성지부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활동 사항]

안종식은 1940년 2월 니혼대학[日本大學] 동기생 안병익(安秉翊)·김사복(金思宓)·이창덕(李昌德) 등 13명과 함께 독립운동단체를 결성하기로 결의하고 3월 9일 도쿄에서 죽마계를 조직하였다. 죽마계는 서울에 본부를 두고 도쿄에 지부를 설치하였는데, 본부 위원에 안병익, 지부 위원에 이해룡·이봉하·이창덕을 선임하였다. 이후 귀국한 안종식은 1940년 7월 15일 서울 정릉(貞陵) 약사사(藥師寺)에서 안병익·김사복·이창덕·이해룡·김덕순 등과 만나 활동에 대하여 논의하고, 7월 18일 청량리의 청량사(淸凉寺)에서 열린 제1회 정기총회에 참여하였다.

안종식은 1941년 4월 19일 청량사에서 개최된 임시총회에서 경성지부 위원 겸 사업부 부원으로 선임되었다. 그러나 6월에 조직이 발각되어 안종식을 비롯한 죽마계 계원 총 14명이 일본 경시청(警視廳)에 체포되었다. 8월 10일 체포된 안종식은 1943년 3월 30일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고, 도쿄 고이시카와형무소[小石川刑務所]에서 복역 중 1945년 4월 25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안종식의 공적을 기려 2014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