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725
한자 徐彩鳳
영어공식명칭 Seo Chaebong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임삼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59년연표보기 - 서채봉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07년 2월 23일 - 서채봉 남일동 패물폐지부인회 설립
몰년 시기/일시 1936년연표보기 - 서채봉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06년 2월 28일 -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에서 국채보상운동 여성 기념비 건립
거주|이주지 남일동 - 대구광역시 중구 남일동 지도보기
활동지 남일동 패물폐지부인회 -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394[남일동 109-2]지도보기
성격 민족운동가
성별 여성
대표 경력 남일동 패물폐지부인회 회원

[정의]

개항기 대구에서 활동한 여성 민족운동가.

[개설]

서채봉(徐彩鳳)[1859~1936]은 지금의 대구광역시 중구 남일동에서 패물폐지부인회(佩物廢止婦人會)를 결성하여 국채보상운동이 전국으로 확산하는 데 기여하였다.

[가계]

서채봉의 남편은 정봉원이고, 아들은 정운갑이다.

[활동 사항]

1907년 1월 29일 대구 광문사(廣文社) 내 문회(文會)는 특별총회를 열어 대동광문회(大東廣文會)로 명칭을 변경한 뒤 국채보상운동을 결의하였고, 2월 21일에는 서문 밖 북후정(北堠亭)에서 대구군민대회가 개최되었다. 당시 남일동에 거주하던 서채봉국채보상운동에 동참하기로 결의하고 대구군민대회 개최 이틀 후인 2월 23일 정경주(鄭瓊周)[서병규의 아내]·김달준(金達俊)[정운화의 아내]·정말경[서학균의 아내]·최실경[서석균의 아내]·이덕수[서덕균의 아내]·김수원의 아내 배씨와 함께 남일동 패물폐지부인회를 결성하였다. 남일동 패물폐지부인회는 은장도와 은가락지 등 부인들이 가지고 있던 패물들을 기부하여 국채를 갚고 경제 주권을 지키려는 운동을 전개하였다. 서채봉은 1936년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에서는 2006년 2월 28일 ‘국채보상운동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서채봉을 비롯한 대구 남일동 패물폐지부인회 회원들의 활동을 담은 국채보상운동 여성 기념비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에 건립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