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김정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582
한자 金正鎭
영어공식명칭 Kim Jeongjin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최재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25년 12월 26일연표보기 - 김정진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43년 4월 - 김정진 비밀결사 태극단 가입
활동 시기/일시 1943년 5월 25일 - 김정진 일제 경찰에게 체포
활동 시기/일시 1944년 1월 19일 - 김정진 징역 단기 2년, 장기 3년형 선고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63년 - 김정진 대통령표창 수훈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0년 - 김정진 건국훈장 애족장 수훈
몰년 시기/일시 2013년 3월 15일연표보기 - 김정진 사망
출생지 해저리 -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해저리
학교|수학지 대구상업학교 - 대구광역시 지도보기
활동지 대구광역시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대표 경력 태극단 단원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김정진(金正鎭)[1925~2013]은 1925년 12월 26일 지금의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해저리에서 태어났다. 대구상업학교 재학 중 항일 비밀결사 조직인 태극단(太極團)에 가담하여 활동하였다.

[활동 사항]

김정진대구상업학교 5학년에 재학 중이던 1943년 4월 이상호(李相虎) 등이 주도하여 조직한 항일 비밀결사 태극단[약칭 T·K·D]에 가입하였다. 태극단은 전국의 학교와 각 지역별로 조직을 완성한 후 항일투쟁을 전개하고, 국내에서의 투쟁이 여의치 못할 때에는 중국으로 집단 망명하여 항쟁을 이어 간다는 계획을 세웠다.

김정진 등은 결성 이후 단원이 26명으로 늘어나자 5월 9일 대구 앞산에서 정식으로 태극단 결단식을 거행하고 조직을 구성하였다. 태극단의 조직 체계는 일반 조직과 특수 조직으로 구성되었는데, 일반 조직에는 활동을 총괄하는 관방(官房)국과 체육국 산하에 군사·무도·경기·등산·항공·박물·이화 등 8개부를 두었다. 특수 조직인 건아대(健兒隊)는 중학교 1·2학년생과 국민학교 상급반 학생들 가운데 민족의식이 높고 실천력과 책임감이 높은 학생들을 가입시켜 육성하려는 목적으로 조직되었다. 이때 김정진은 비서장을 맡았다.

1943년 5월 23일 한 학생의 밀고로 단장 이상호대구경찰서 고등계 형사에게 체포되었고, 이상호의 집에 숨겨 두었던 태극단 관련 문서가 발각되었다. 5월 25일 학교에서 수업을 듣고 있던 김정진김상길·서상교(徐尙敎)·이준윤(李浚允)·이원현(李元鉉)·윤삼룡(尹三龍)·정광해(鄭光海)·이태원(李兌遠)·정환진(鄭晥鎭)과 함께 일제 경찰에게 체포되었다. 김정진은 1944년 1월 19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단기 2년 장기 3년형을 선고받았으며, 김천소년형무소로 이감되어 옥고를 치르다가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여 출소하였다. 김정진은 2013년 3월 15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김정진의 공적을 기려 1963년 대통령표창, 1990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하였다. 대구상원고등학교 총동창회는 김정진 등의 의거를 기리기 위하여 2003년 대구상원고등학교 후문 인근에 태극단 학생 독립운동 기념공원을 조성하였고, 2003년 10월 19일 태극단 학생 독립운동 기념탑을 건립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