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김장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576
한자 金章洙
영어공식명칭 Kim Jangsoo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근대,현대/현대
집필자 임삼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학 시기/일시 1944년 3월 25일 - 김장수 경북중학교 졸업
활동 시기/일시 1944년 - 김장수 군위동부공립국민학교 훈도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46년 3월 - 김장수 대구여자중학교 교사 임용
수학 시기/일시 1947년 - 김장수 대구대학 전문부 입학
수학 시기/일시 1949년 7월 - 김장수 대구대학 전문부 졸업
활동 시기/일시 1955년 5월 - 김장수 대구 능인고등학교 교사 임용
활동 시기/일시 1960년 5월 6일 - 김장수 대구지구중등교원노동조합 위원장으로 선출
활동 시기/일시 1961년 4월 9일 - 김장수 한국교원노동조합총연합회대표자대회 참여
활동 시기/일시 1961년 11월 7일 - 김장수 「특수범죄처벌에 관한 특별법」 제6조 위반 혐의로 징역 10년형 구형
활동 시기/일시 1961년 11월 30일 - 김장수 혁명재판소에서 무죄 선고
거주|이주지 남산동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지도보기
학교|수학지 경북중학교 - 대구광역시 지도보기
학교|수학지 대구대학 - 경상북도 경산시 대학로 280[대동 214-1]
활동지 대구 - 대구광역시
성격 사회운동가
성별 남성
대표 경력 대구지구중고등학교교원노동조합 위원장

[정의]

대구에서 활동한 사회운동가.

[개설]

김장수(金章洙)[?~?]는 대구에서 교원노동조합 간부로 활동하며 이대악법반대운동을 전개하였다.

[활동 사항]

김장수는 1944년 3월 25일 경북중학교를 졸업한 뒤 1944년 9월 3종 중등자격시험에 합격하여 경상북도 군위군의 군위동부공립국민학교[현 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초등학교] 훈도로 근무하였다. 1946년 3월 경상북도중등교원양성소를 수료하고 대구여자중학교[현 대구일중학교] 교사로 임용되었다. 1947년 대구대학[현 영남대학교] 전문부에 입학하여 1949년 7월 졸업하였으며, 1955년 5월부터 대구 능인고등학교 교사로 근무하였다. 1960년 5월 6일 대구지구중등교원노동조합 위원장에 선출되었다.

김장수는 1961년 3월 17일 대구 능인고등학교에서 열린 한국교원노동조합총연합회대의원대회에서 대구지구중등교원노동조합 부위원장 여학용 등 약 20명의 대의원과 함께 교육의 자주성을 침해하는 「데모규제법」과 「반공특별법」 철회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1961년 4월 9일 대구여자중고등학교 강당에서 개최된 한국교원노동조합총연합회대표자대회에서도 여학용·신우영·조영진·이목·이종석 등과 함께 「데모규제법」과 「반공특별법」을 즉시 철회하라는 결의문을 채택하고 이대악법반대운동을 결의하였다. 이후 김장수는 전국에서 참가한 600여 명의 각 지역 교원노동조합 대표들과 함께 구호를 외치며 시위행진에 나섰다. 시위대는 대구역 광장을 경유하여 북성로 대구경찰서 앞을 지나 교원노동조합 사무실까지 시가행진을 하면서 이대악법반대운동을 전개하였다.

김장수는 1961년 5·16쿠데타 이후 구속되어 11월 7일 「특수범죄처벌에 관한 특별법」 제6조 위반으로 징역 10년형을 구형받았으나, 1961년 11월 30일 혁명재판소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