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김이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575
한자 金而鉉
영어공식명칭 Kim Ihyeon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일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22년 6월 9일연표보기 - 김이현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38년 6월 - 김이현 소년면려회 결성
활동 시기/일시 1944년 1월 - 김이현 학병으로 강제 징집
활동 시기/일시 1944년 8월 8일 - 김이현 대구 제24부대 탈출하여 중국으로 망명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7년 - 김이현 대통령표창 수훈
몰년 시기/일시 1998년 2월 2일연표보기 - 김이현 사망
출생지 대신동 - 대구광역시 중구 대신동 지도보기
활동지 대구 - 대구광역시
활동지 중국 - 중국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 출신의 독립운동가.

[개설]

김이현(金而鉉)[1922~1998]은 1922년 6월 9일 지금의 대구광역시 중구 대신동에서 태어났다. 1944년 강제 징집되어 대구 제24부대[경북방위군 제24부대]에 배치되었으나, 동지들과 함께 부대를 탈출한 뒤 중국으로 망명하였다.

[활동 사항]

김이현은 1938년 6월 대구에서 소년면려회 조직에 참여하여 배일사상을 고취하였고, 1941년 일본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1944년 1월 학병으로 강제 징집되어 대구 24부대에 배치되었다. 1944년 1월 30일 학병들 중 제3대대 3중대의 27명 정도만 대구 24부대에 남겨졌고, 대부분은 중국 북부 지역으로 보내졌다. 이때 대구에 남은 김이현권태용(權泰鏞)·권혁조(權赫朝)·권성훈(權性薰)·김복현(金福顯)·권중혁(權重赫)·문한우(文漢雨) 등과 함께 일제의 전쟁 동원 정책에 반대하고 저항할 방도를 모색하였다.

김이현 등은 반일사상 고취와 징병 병력의 탈출 지원, 탄약고 폭포와 무기 탈취를 통한 일본군 몰살, 독극물을 음식물에 투입하여 일본군을 제거하고 부대를 탈출한다는 구체적인 계획을 세웠다. 1944년 8월 8일 권태용은 동지들과 함께 하수구를 통하여 부대를 탈출한 뒤 대구 팔공산으로 들어가 일제에 대한 저항을 이어 가려 하였다.

학병들의 탈영 사실이 알려지자 대구 24부대 및 경찰·행정관서 등이 연합하여 김이현 등을 추격하였다. 일제의 포위망이 좁혀 오자 김이현은 중국 만주로 망명하여 1945년 8월 중국 펑톈[奉天]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공작원과 접선하여 당산에서 지하공작을 진행하다가 광복 이후 귀국하였다. 김이현은 1998년 2월 2일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김이현은 1948년 최정식과 함께 대구 24부대 탈출 사건을 소개한 『학병탈출기』를 저술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김이현의 공적을 기려 1977년 대통령표창을 수여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