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565
한자 金容鎬
영어공식명칭 Kim Yongho
이칭/별칭 일암(一菴),김용우(金容又),김용순(金容淳),김용문(金容文)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장세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53년 8월 28일연표보기 - 김용호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19년 3월 - 김용호 파리장서 서명
몰년 시기/일시 1924년 12월 30일연표보기 - 김용호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03년연표보기 - 김용호 건국포장 추서
출생지 매곡리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대구 - 대구광역시
활동지 대구 - 대구광역시 달성군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 출신의 독립운동가.

[개설]

김용호(金容鎬)[1853~1924]는 1853년 8월 28일 지금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3월 파리장서 운동이 전개될 때 유림 대표로 참여하였다. 호는 일암(一菴)이며, 김용우(金容又)·김용순(金容淳)·김용문(金容文)으로도 알려졌다.

[활동 사항]

김용호는 기호학파인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1836~1905]의 학통을 계승하였다. 1919년 3월 김창숙(金昌淑)·곽종석(郭鍾錫)·장석영(張錫英) 등의 유학자들은 조선 독립을 청원하는 장서를 파리강화회의에 제출하기로 하였다. 이에 여러 유학자들의 서명을 받았는데, 김용호도 대구[달성] 유림 대표로 서명하였다. 장서는 김규식(金奎植)이 파리강화회의에 제출하기로 하였으며, 이와 별도로 국내 각 향교에도 우송되었다. 그러나 1919년 4월 12일 성주의 송회근(宋晦根)이 일제 경찰에게 체포되는 바람에 파리장서 운동의 전말이 발각되었으며, 이 일로 김용호도 일제 당국으로부터 고초를 겪었다. 김용호는 1924년 12월 30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김용호의 공적을 기려 2003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