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김열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553
한자 金烈圭
영어공식명칭 Kim Yeolgyu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종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32년 2월 10일연표보기 - 김열규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50년 - 김열규 서울대학교 입학
활동 시기/일시 1959년 - 김열규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63년 - 김열규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63년 - 김열규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현대인의 언어적 미망」 당선
활동 시기/일시 1979년 2월 - 김열규 『수필문학』 신인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2002년~2003년 - 김열규 계명대학교 석좌교수 역임
몰년 시기/일시 2013년 10월 22일연표보기 - 김열규 사망
출생지 고성군 - 경상남도 고성군
학교|수학지 서울대학교 - 서울특별시
활동지 계명대학교 - 대구광역시 지도보기
성격 수필가|국문학자
성별 남성
대표 경력 서강대학교 교수

[정의]

대구에서 활동한 수필가이자·국문학자.

[개설]

김열규(金烈圭)[1932~2013]는 1932년 2월 10일 경상남도 고성군에서 태어났다. 대학에서 국문학과 한국학을 연구하며 강의하였다. 1979년 2월 『수필문학』 신인상을 받으면서 수필가로 활동하였다.

[활동 사항]

김열규는 1950년 서울대학교에 입학하였으며 졸업 후 1959년 충남대학교 교수로 근무하였다. 1963년 서강대학교와 인제대학교 등에서 근무하였다. 1963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현대인의 언어적 미망」이 당선되었다. 2002년부터 2003년까지 계명대학교 석좌교수를 역임하였다. 1991년부터는 고향인 고성으로 낙향하여 읽기와 쓰기에 전념하였다.

김열규는 2013년 10월 22일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김열규의 저서로는 전공 이론서 『한국 민속과 문학 연구』[1971]가 있고, 수필집으로는 『흔드는 시대의 언어들』[1985]·『빈손으로 돌아와도 좋다』[1993]·『꿈엔들 잊힐리야』[2006]·『자연에서 찾은 노년의 행복』[2010]·『시간의 빈터에서』[2007] 등이 있다. 수필선집은 『산에서 마음 기대고 바다에 영혼 맡기며』[2009]·『바다바라기』[2003]·『김열규 수필 선집』[2017] 외 다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