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김세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543
한자 金世鎔
영어공식명칭 Kim Seyong
이칭/별칭 鐵丘生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최재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07년연표보기 - 김세용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19년 - 김세용 대구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3·1운동에 참가하여 퇴학
활동 시기/일시 1922년 - 김세용 경성의학전문학교 입학
활동 시기/일시 1930년 - 김세용 조선일보사 입사
활동 시기/일시 1944년 - 김세용 건국동맹 가입
활동 시기/일시 1945년 - 김세용 건국준비위원회에 참여하여 재정부장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45년 9월 - 김세용 조선인민공화국 헌법기초위원, 군사부장 임시대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45년 11월 - 김세용 조선인민당 총무국 차장, 조직국장, 중앙정치위원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46년 1월 31일 - 김세용 민주주의민족전선 준비위원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46년 2월 - 김세용 민주주의민족전선 중앙위원회 조직부 차장, 행정기구 전문위원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46년 8월 - 김세용 3당합당교섭위원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46년 11월 - 김세용 남조선노동당 입당
몰년 시기/일시 1966년연표보기 - 김세용 사망
출생지 대구 - 대구광역시
수학|강학지 대구고등보통학교 - 대구광역시 지도보기
수학|강학지 경성의학전문학교 - 서울특별시
수학|강학지 동방노력자공산대학 - 러시아 모스크바시
성격 사회주의 민족운동가
성별 남성
대표 관직|경력 건국준비위원회 재정부장|조선인민당 조직국장|민주주의민족전선 중앙위원회 조직부 차장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 출신의 사회주의 민족운동가.

[개설]

김세용(金世鎔)[1907~1968]은 광복 후 건국준비위원회, 조선인민당, 민주주의민족전선에서 활동한 사회주의 민족운동가이다.

[활동 사항]

김세용은 1907년 대구에서 태어났다. 1919년 대구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3·1운동에 참가하여 퇴학 처분을 받았고, 1922년 경성의학전문학교에 입학하였으나 얼마 뒤 모스크바로 가서 동방노력자공산대학에서 수학하였다. 1926년 귀국한 뒤에 조선일보사에 입사하여 사회부 기자가 되었고, 1930년 10월 기자 동맹파업 사건으로 해고되었다. 1944년 몽양(夢陽) 여운형(呂運亨)[1886~1947]의 건국동맹에 참여하였고, 1945년 8월 15일 광복 당일에는 여운형의 지시에 따라 이여성과 함께 국호와 국기 제정 임무를 맡았다. 1945년 8월 건국준비위원회에 참여하여 재정부장이 되었고, 조선인민공화국 헌법기초위원과 군사부장 임시대리가 되었다. 11월에는 조선인민당 총무국 차장, 조직국장, 중앙정치위원에 선임되었다.

김세용은 1946년 1월 31일 민주주의민족전선 준비위원, 2월 민주주의민족전선 중앙위원회 조직부 차장과 행정기구 전문위원이 되었다. 1946년 8월에는 3당합당교섭위원에 선임되었고, 3당 합당 추진 과정에서 합당 추진파인 인민당 48인파에 속하였다. 이때 박헌영으로부터 합당 추진 비밀 서한을 받은 사실이 여운형에 의하여 폭로되어 인민당 조직국장에서 면직되었다. 이후 1946년 11월 남조선노동당 결성에 참여하였다. 1966년에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김세용은 1931년부터 1935년까지 처남 이여성(李如星)과 함께 『숫자조선연구(數字朝鮮硏究)』 전 5권을 집필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