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406
한자 韓浚謙
영어공식명칭 Han Jungyeom
이칭/별칭 익지(益之),유천(柳川),문익(文翼)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전일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57년연표보기 - 한준겸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79년 - 한준겸 생원시와 진사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585년 - 한준겸 태릉참봉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589년 - 한준겸 별시 문과 병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89년 - 한준겸 정여립의 난에 연루되어 투옥
활동 시기/일시 1599년 - 한준겸 경상도관찰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23년 - 한준겸 서평부원군에 책봉
몰년 시기/일시 1627년연표보기 - 한준겸 사망
출생지 한성 - 서울특별시
부임|활동지 경상감영 - 대구광역시 중구 경상감영길 99[포정동 21]지도보기
사당|배향지 문회서원 - 북한 황해도 배천군
성격 문관
성별 남성
본관 청주(淸州)
대표 관직 경상도관찰사|호조판서

[정의]

조선 후기 대구 지역에서 활동한 문관.

[가계]

한준겸(韓浚謙)[1557~1627]의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자는 익지(益之), 호는 유천(柳川)이다. 시호는 문익(文翼)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선군수 한승원(韓承元)이며, 할아버지는 중추원경력 한여필(韓汝弼)이다. 아버지는 경성판관 한효윤(韓孝胤)이고, 어머니는 예빈시정 신건(申健)의 딸 평산신씨(平山申氏)이다. 부인은 황성(黃珹)의 딸 창원황씨(昌原黃氏)이다. 인조(仁祖)의 장인이며, 형은 한백겸(韓百謙)·한중겸(韓重謙)이다.

[활동 사항]

한준겸은 1557(명종 12) 지금의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태어났다. 1579년(선조 12)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585년 태릉참봉에 제수되었다. 1585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검열이 되었다. 이후 주서·봉교·전적 등을 거쳐 1589년 금천현감(衿川縣監)이 되었지만 선조(宣祖)가 노모가 있음을 알고 사가독서(賜暇讀書)하게 하였다.

한준겸은 1589년 겨울에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이 발각되자, 정여립의 조카인 이진길(李震吉)을 천거한 일로 연좌되어 투옥되었다. 1592년 재기용되어 예조정랑을 거쳐 강원도도사·사서 등을 역임하였다. 1595년 지평·필선·정언·교리 등을 역임하였고, 도체찰사 유성룡(柳成龍)의 종사관이 되었다.

임진왜란이 끝나자 한준겸은 우승지·경기감사·대사성 등을 거쳐 1599년 경상도관찰사로 부임하였다. 1605년에는 도원수로서 칠곡군 인동에 천생산성(天生山城)을 축성하였다. 이후 병조참판·호조판서·대사헌·한성부판윤 및 평안도와 함경도의 관찰사를 역임하였다. 1623년(인조 1) 인조반정으로 딸이 인열왕후(仁烈王后)에 책봉되자 한준겸은 영돈녕부사로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에 봉해졌다. 1627년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한준겸의 저술로는 『유천유고(柳川遺稿)』가 있다.

[상훈과 추모]

한준겸은 영돈령부사로 서원부원군에 봉해졌다. 사망한 뒤에는 문익(文翼)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함흥의 문회서원(文會書院)에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