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조태억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384
한자 趙泰億
영어공식명칭 Jo Taeeok
이칭/별칭 대년(大年),겸재(謙齋),태록당(胎祿堂),문충(文忠)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병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75년연표보기 - 조태억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93년 - 조태역 진사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702년 - 조태역 식년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708년 - 조태역 우부승지 역임
활동 시기/일시 1709년 - 조태역 철원부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710년 - 조태역 대사성 역임
활동 시기/일시 1720년 - 조태역 경상도관찰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722년 - 조태역 대제학 역임
활동 시기/일시 1724년 - 조태역 우의정 역임
활동 시기/일시 1727년 - 조태역 좌의정 역임
몰년 시기/일시 1728년연표보기 - 조태억 사망
추모 시기/일시 1729년 - 조태억 문충 시호를 받음
출생지 한성 - 서울특별시
부임|활동지 철원 - 강원도 철원군
부임|활동지 여주 - 경기도 여주시
부임|활동지 경상감영 - 대구광역시 중구 경상감영길 99[포정동 21]지도보기
묘소|단소 조태억 묘소 -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마포리 산35-2
성격 문관
성별 남성
본관 광주(廣州)
대표 관직 경상도관찰사|좌의정

[정의]

조선 후기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한 문신.

[가계]

조태억(趙泰億)[1675~1728]의 본관은 양주(楊州)이고, 자는 대년(大年), 호는 겸재(謙齋)·태록당(胎祿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지돈녕부사 조존성(趙存性)이고 할아버지는 형조판서를 역임한 조계원(趙啓遠)이다. 아버지는 이조참의 조가석(趙嘉錫)이고, 어머니는 현감 윤이명(尹以明)의 딸 남원윤씨(南原尹氏)이다. 부인은 승정원주서 심귀서(沈龜瑞)의 딸 청송심씨(靑松沈氏)이다.

[활동 사항]

조태억은 1675년(숙종 1) 한성[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최석정(崔錫鼎)[1646~1715]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93년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702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07년 문과중시에 병과로 급제한 이후 1708년에 이조정랑을 거쳐 우부승지가 되었다. 1709년 철원부사로 나갔다가 1710년에 대사성이 되었고, 1711년 통신사로 차출되어 일본에 다녀왔다. 이때 막부의 어용화가 가노 쓰네노부[狩野常信]가 그린 조태억의 초상화가 전한다. 1712년에 일본의 국서(國書)가 격식에 어긋났다는 이유로 관작이 삭탈되고 도성 밖으로 추방되었다가 1714년 다시 기용되었다.

조태억은 이후 공조참의·예조참의·여주목사·장례원판결사를 거쳐 1720년 경상도관찰사로 부임하였다. 경상도관찰사 재임 시에는 선정을 베풀었고, 인재 양성과 학문 진흥을 목적으로 대구부(大邱府)의 남문 밖에 낙육재(樂育齋)를 설립하였다.

경상도관찰사 임기를 마치고 조정에 복귀한 조태억은 1722년(경종 2)에 대제학이 되었고, 공조판서·예조판서 등을 거쳐 1724년(영조 즉위년) 호조판서에 올랐다. 1724년 영조(英祖)의 즉위를 알리는 교서를 작성하였고, 병조판서가 된 지 8일 만에 이조판서 이조(李肇)의 추천으로 우의정에 올랐다. 조태억은 1727년 좌의정에 올랐고, 1728년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조태억의 저술로는 『겸재집(謙齋集)』, 45권 20책이 있다.

[묘소]

조태억의 묘소는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마포리 산35-2에 있다.

[상훈과 추모]

조태억은 1729년 문충(文忠)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1755년 나주에서 일어난 벽서 괘서 사건으로 관작이 추탈되었다가 1908년 복권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