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355
한자 李徵海
영어공식명칭 Lee Jinghae
이칭/별칭 계함(季涵)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충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59년연표보기 - 이징해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81년 - 이징해 진사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703년 - 이징해 대구판관 부임
활동 시기/일시 1711년 - 이징해 원주목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716년 - 이징해 상주목사 부임
몰년 시기/일시 1719년연표보기 - 이징해 사망
추모 시기/일시 1886년 - 판관 이후징해 영세불망비 건립
부임|활동지 대구부 - 대구광역시
부임|활동지 원주 - 강원도 원주시
부임|활동지 상주 - 경상북도 상주시
묘소|단소 판관 이후징해 영세불망비 -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로27길 11-4[불로동 210]지도보기
성격 문관
성별 남성
본관 전의(全義)
대표 관직 대구판관|상주목사

[정의]

조선 후기 대구판관을 역임한 문관.

[가계]

이징해(李徵海)[1659~1719]의 본관은 전의(全義)이며, 자는 계함(季涵)이다. 할아버지는 우의정 이행원(李行遠)이고, 아버지는 행사옹원봉사 이만최(李萬最)이다. 형은 이징주(李徵舟)·이징즙(李徵楫)이다.

[활동 사항]

이징해는 1659년(효종 10)에 태어났다. 1681년(숙종 7) 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서 수학하였다. 대과에 합격하지 못하였으나 할아버지 이행원이 우의정을 지내고 청백리에 뽑힌 인물이었던 덕분에 음관(蔭官)으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이징해는 1703년 9월 대구판관으로 부임하였다. 대구판관으로 재임 중이던 1704년과 1705년에 흉년이 들었을 때 굶주리는 백성들을 잘 구휼하였고, 백성을 괴롭히는 호랑이를 잡아 조정으로부터 상을 받기도 하였다. 1706년에 어사 이태좌(李台佐) 등이 이징해의 선정을 조정에 보고하여 품계가 올라갔다. 1706년 8월에 이임하였다.

이징해는 1711년(숙종 37) 원주목사로 재임 중이었는데 강원도관찰사 김치룡(金致龍)으로부터 욕심이 많다는 내용으로 탄핵을 당하여 파직되었다. 1716년(숙종 42)에는 상주목사로 재직 중 파벌에 신경 쓰고 세력가들에게 아첨한다는 내용으로 사간원으로부터 탄핵을 당하기도 하였다. 1719년(숙종 45)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1886년에 건립된 이징해의 추모비인 판관 이후징해 영세불망비(判官李侯徵海永世不忘碑)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210에 남아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