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유명악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323
한자 兪命岳
영어공식명칭 Yoo Myungak
이칭/별칭 군사(君四),효경(堯卿)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세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67년연표보기 - 유명악 출생
활동 시기/일시 1705년 - 유명악 생원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713년 - 유명악 대구판관 부임
활동 시기/일시 1716년 - 유명악 대구판관 이임
활동 시기/일시 1716년 - 유명악 순흥부사 부임
몰년 시기/일시 1718년연표보기 - 유명악 사망
거주|이주지 한성 - 서울특별시
부임|활동지 대구부 - 대구광역시
묘소|단소 유명악 묘소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문혜리 산140
성격 문관
성별 남성
본관 기계(杞溪)
대표 관직 대구판관|청주목사

[정의]

조선 후기 대구판관을 역임한 문관.

[가계]

유명악(兪命岳)[1667~1718]의 본관은 기계(杞溪)이며, 자는 군사(君四) 또는 효경(堯卿)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유대의(兪大儀)이고, 할아버지는 예조참의 유성증(俞省曾)이다. 아버지는 대사헌 유철(俞㯙)이고, 어머니는 한전(韓甸)의 딸 청주한씨(淸州韓氏)이다. 부인은 이두악(李斗岳)의 딸 용인이씨(龍仁李氏)이며, 아들은 영의정 유척기(俞拓基)이다.

[활동 사항]

유명악은 1667년(현종 8)에 태어났다.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1653~1722]에게 수학하였고, 1705년(숙종 31)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개령현감을 거쳐 1713년 대구판관으로 부임하였다. 대구판관으로 재임 중이던 1714년 대구부에 처음으로 석빙고를 쌓았고, 이후 선정을 베풀었다. 1716년 순흥부사로 이임하였으며, 1718년 청주목사로 재임 중 사망하였다.

유명악은 지방관으로 재직하며 부임한 고을마다 칭송을 받아 백성들이 비석을 세워 업적을 기렸다. 대구에서는 33방(坊)에서 각각 비석을 세울 정도였다고 한다. 대구광역시에는 경북대학교 교내에 판관 유후명악 청덕선정비(判官兪候命岳淸德善政碑)·판관 유후명악 영세불지비(判官兪候命岳永世不志碑)·판관 유후명악 애민선정비(判官兪候命岳愛民善政碑) 등이 있고, 중구 반월당역 부근에는 석빙고 중수비도 건립되어 있다.

[묘소]

유명악의 묘소는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문혜리 산140에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