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300
한자 孫碩泰
영어공식명칭 Son Seoktae
이칭/별칭 대용(大用),영모재(永慕齋)
분야 종교/유교,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효자·열녀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구본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79년연표보기 - 손석태 출생
몰년 시기/일시 1755년 11월 21일연표보기 - 손석태 사망
출생지 파동 -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파동 -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 지도보기
묘소|단소 손석태 묘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옥분리 지도보기
성격 효자
성별 남성
본관 밀양(密陽)

[정의]

조선 후기 대구 출신의 효자.

[가계]

손석태(孫碩泰)[1679~1755]의 본관은 밀양(密陽)이며, 자는 대용(大用), 호는 영모재(永慕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계동(溪東) 전경창(全慶昌)의 사위인 손기업(孫起業)이고, 아버지는 손상조(孫尙祖)이다.

[활동 사항]

손석태는 1679년(숙종 5) 지금의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에서 태어났다. 집안이 가난하여 품팔이를 하여 부모를 봉양하였는데, 부모의 장례를 치르고 난 뒤에 매일 성묘를 하니, 절을 한 곳에는 풀이 자라지 않았다고 한다. 1749년(영조 22) 손석태의 효행에 대하여 수남면(守南面)[조선시대 수성구의 남쪽]에서 대구부에 소장(訴狀)을 올렸다. 소장을 살펴보면 손석태의 효행은 이미 경상도관찰사 유척기(俞拓基)가 재임 중에 조정에 보고하였으나 포상을 받지 못하였다고 한다. 손석태는 1755년 11월 21일 사망하였다.

1799년(정조 23) 8월 10일 대구부에서는 “수남면에 살았던 사인(士人) 손석태는 여묘(廬墓)에서 시묘를 하였는데 사람으로 하여금 감탄하게 하였다. 일찍이 사림(士林)에서 감영에 보고하여 장문(狀聞)에 이르렀으니 가엾게 여겨 돌보아 주지 않을 수 없다. 무릇 호(戶)에 잡역(雜役)을 하지 못하게 하여 격려하고자 하니 마땅히 시행할 것”이라는 증서를 내려 손석태를 포상하였다.

[묘소]

손석태의 묘소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옥분리에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