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244
한자 權文海
영어공식명칭 Gwon Munhae
이칭/별칭 호원(灝元),초간(草澗)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구본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34년 7월 24일연표보기 - 권문해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60년 - 권문해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84년 - 권문해 대구부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591년 - 권문해 좌부승지 역임
몰년 시기/일시 1591년 11월 20일연표보기 - 권문해 사망
출생지 죽림리 -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죽림리
거주|이주지 죽림리 -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죽림리
수학지 계상서당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백운로 251-11[토계리 산24-17]
묘소|단소 권문해 묘소 -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산
성격 문관
성별 남성
본관 예천(醴泉)
대표 관직 대구부사|좌부승지

[정의]

조선 전기 대구 지역에서 활동한 문관.

[가계]

권문해(權文海)[1534~1591]의 본관은 예천(醴泉)이며, 자는 호원(灝元), 호는 초간(草澗)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권선(權善)이고, 할아버지는 권오상(權五常)이다. 아버지는 권지(權祉)이고, 어머니는 정찬종(鄭纘宗)의 딸 동래정씨(東萊鄭氏)이다.

[활동 사항]

권문해는 1534년(중종 29) 지금의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죽림리에서 태어났다.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하에 들어가 계상서당(溪上書堂)에서 수학하였고, 1560년(명종 15) 문과에 급제하였다. 사간원 정언, 안동부사, 청주목사, 공주목사를 역임하였다. 1584년(선조 17) 대구부사로 부임하여 7년간 부사직을 수행하고 1591년 7월에 이임하였다. 권문해는 부사로 재임 중에 일기를 남겼는데, 이 일기는 조선 전기 대구에 대하여 가장 많은 기록을 남긴 자료이다. 향교에서 석전대제(釋奠大祭)를 올린 것과 관아에 있었던 금학루(琴鶴樓)에 올라 정무를 본 기록이 여러 곳에 보인다. 그리고 비가 많이 내려 금호강 물이 넘쳤다던가, 비가 내리지 않아 금호강의 옥연(玉淵)에서 기우제(祈雨祭)를 지내는 등 목민관으로서의 모습을 살필 수 있다.

권문해는 손수(孫遂)·정사철(鄭師哲)·서식(徐湜)·서사원(徐思遠)·전윤창(全胤昌)·류요신(柳堯臣)·이종문(李宗文)·전춘년(全春年) 부자 등 대구 지역의 유생들과 활발하게 교유하였다. 또한 전경창(全慶昌)·전응창(全應昌) 형제의 상차(喪次)[상주가 머무는 방]에 문상을 한 기록도 있다. 서사원 집에 있었던 연정(蓮亭)과 윤대승(尹大承)의 부강정(浮江亭), 정사철의 아금정(牙琴亭), 선선서당(仙槎書堂)을 방문하기도 하였다.

권문해의 1587년 10월 30일 일기에는 자신의 주요 저작인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을 27일부터 정서하기 시작하였다고 하였다. 1588년(선조 21) 10월 4일에 연경서원을 방문하여 유생들에게 「난옥배(暖玉杯)」 시(詩)와 「간원존고(諫垣存稿)」 부(賦)를 짓게 하였다. 10월 5일에 대구부로 돌아오는 길에 금호강을 건너 소유정(小有亭)압로정(狎鷺亭)을 방문하였다.

권문해는 대구부사 임기를 마친 뒤 동부승지에 제수되었으며, 이후 좌부승지로 재임 중이던 1591년 11월 20일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권문해의 저술로는 『초간문집(草澗文集)』, 『초간일기(草澗日記)』,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이 있다.

[묘소]

권문해의 묘소는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산에 있다. 묘갈명은 홍문관수찬 권두경(權斗經)이 지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