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234
한자 姜籤
영어공식명칭 Kang Cheom
이칭/별칭 공신(公信),죽월헌(竹月軒)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세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59년연표보기 - 강첨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91년 - 강첨 식년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95년 - 강첨 지평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00년 - 강첨 수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09년 - 강첨 경상도관찰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10년 - 강첨 대사헌 역임
몰년 시기/일시 1611년연표보기 - 강첨 사망
출생지 회덕 - 대전광역시
부임|활동지 경상감영 - 대구광역시 중구 경상감영길 99[포정동 21]지도보기
묘소|단소 강첨 묘소 - 대전광역시 대덕구 회덕동
성격 문관
성별 남성
본관 진주(晉州)
대표 관직 경상도관찰사|대사헌

[정의]

조선 후기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한 문관.

[가계]

강첨(姜籤)[1559~1611]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공신(公信), 호는 죽월헌(竹月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문한(姜文翰)이고, 할아버지는 강인(姜璘)이다. 아버지는 증영의정 강운상(姜雲祥)이며, 어머니는 윤씨(尹氏)이다. 부인은 예조참판을 역임한 신담(申湛)의 딸 고령신씨(高靈申氏)이며, 아들은 대사헌 강학년(姜鶴年)이다.

[활동 사항]

강첨은 1559년(명종 14) 지금의 대전광역시에서 태어났다. 1591년(선조 24)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정자에 임명되었다. 1592년 병조좌랑으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충청도와 경상도의 운량어사(運糧御史)가 되어 군량 조달에 힘썼다. 1595년 지평이 되어 사서(司書)를 겸하였으며, 1600년에 수찬(修撰)이 되었다. 1603년 사간으로 있을 때 최영경(崔永慶)과 정철(鄭澈) 등을 탄핵하기도 하였다.

1608년(광해 즉위년) 이조참의와 좌부승지를 거쳐 5월에 경상도관찰사로 부임하여 1609년 3월까지 선정을 베풀었다. 1609년 강첨은 대구부사 안희(安熹)[1551~1613]와 함께 연경서원(硏經書院)을 방문하여 손처눌(孫處訥)[1553~1634]과 손처약(孫處約)[1556~1618] 형제 등을 만나 대구부의 유교 부흥에 기여하였다. 강첨은 경상도관찰사 임기를 마친 뒤 1610년 대사헌에 임명되었고, 이듬해인 1611년 사망하였다.

[묘소]

강첨의 묘소는 대전광역시 대덕구 회덕동에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