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211
한자 來姓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구본욱

[정의]

대구에 입향하여 세거하고 있는 성씨.

[내용]

조선 초에 대구는 본부(本府)와 수성현(壽城縣), 하빈현(河濱縣), 해안현(解顔縣)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의하면 “본군(本郡)의 내성(來姓)이 1이니, 도(都)이다. 수성(壽城)의 내성(來姓)이 7이니, 유(柳)·장(張)·최(崔)·신(申)·유(劉)·고(高)·정(鄭)이요, 해안(解顔)의 내성이 3이니, 제(諸)·진(秦)·박(朴)이다.”라고 하였다. 위의 내성은 모두 11개 성씨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세종실록지지』에 표기된 성씨 외에 예(芮)·진(陳)·김(金)·이(李)가 내성으로 추가되어 있다. 예(芮)·진(陳)·김(金)·이(李)는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수성의 속성(續姓)으로 기록되어 있었는데 내성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세종실록지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언급한 내성을 모두 합하면 15개 성씨이지만 도씨, 즉 성주도씨(星州都氏)를 제외하고는 대구에 세거하는 성씨로 이어지지는 못하였다. 성주도씨달성군 다사읍의 서재, 달서구 용산동 등지에 세거하고 있다.

1786년(영조 44)에 편찬된 『대구읍지(大丘邑誌)』에는 「신증(新增)」이라고 하고 박(朴)·채(蔡)·조(趙)·양(楊)·윤(尹)·전(全)·우(禹)·이(李)·임(任)·민(閔)·최(崔)·손(孫)·곽(郭)·배(裵)·구(具)·김(金)·은(殷)·여(呂)·홍(洪)·권(權)·남(南)·공(孔)·문(文) 등 모두 23개 성씨를 추가 수록하고 있다. 이들 성씨는 대부분 지금 대구에 거주하는 성씨이다.

박씨는 순천박씨(順天朴氏)로 하빈의 묘동, 채씨는 인천채씨(仁川蔡氏)동구 미대동·지묘동, 조씨는 함안조씨(咸安趙氏)서구 원대동, 양씨는 중화양씨(中和楊氏)수성구 파동·지산동, 윤씨는 파평윤씨(坡平尹氏)달성군 다사읍, 전씨는 옥산전씨(玉山全氏)와 옥천전씨(沃川全氏)로 수성구 파동·북구 동변동·달성군 가창면·수성구 만촌동, 우씨는 단양우씨(丹陽禹氏)달서구 상인동·동구 평광동, 이씨는 인천이씨(仁川李氏)전의이씨(全義李氏)인천이씨북구 동변동·서변동, 전의이씨달성군 하빈면, 임씨는 풍천임씨(豐川任氏)로 북구 동변동·서변동, 민씨는 여주민씨(驪州閔氏)로 북구 산격동, 최씨는 경주최씨(慶州崔氏)동구 지묘동·도동·둔산동, 손씨는 일직손씨(一直孫氏)수성구 황금동·상동·동구 도동, 곽씨는 현풍곽씨(玄風郭氏)동구 도동, 배씨는 성주배씨(星州裵氏)로 동구 해안동, 구씨는 능성구씨(綾城具氏)북구 동변동·서변동, 은씨는 행주은씨(幸州殷氏)로 북구 동변동·서변동, 여씨는 성산여씨(星山呂氏)달성군 가창면·동구 부동, 홍씨는 남양홍씨(南陽洪氏)로 동구 둔산동, 남씨는 영양남씨(英陽南氏)동구 입석동, 문씨는 남평문씨(南平文氏)달서구 본리동에 세거하고 있다. 하지만 『대구읍지』「신증(新增)」에는 동구 검사동부동문화류씨(文化柳氏), 다사읍동래정씨(東萊鄭氏), 중구 대신동수원백씨(水原白氏)가 누락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