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075
한자 表節祠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로24길 22-35[동변동 234-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구본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600년연표보기 - 표절사 건립
훼철|철거 시기/일시 1871년 - 표절사 훼철
개축|증축 시기/일시 2007년 - 표절사 복원
현 소재지 표절사 -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로24길 22-35[동변동 234-1]지도보기
원소재지 표절사 -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로24길 22-35[동변동 234-1]
성격 사당
양식 목조 기와집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1칸
소유자 능성구씨 무태동변 문중
관리자 능성구씨 무태동변 문중

[정의]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능성구씨 사당.

[개설]

표절사(表節祠)가 있는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능성구씨의 집성촌이다. 임진왜란팔공산에서 창의한 구회신(具懷愼)이 종전 후 대구 무태리에 입향·정착하면서 8대조 문절공(文節公) 송은(松隱) 구홍(具鴻)을 제향하기 위하여 1600년(선조 33)에 건립하였다.

고려 말 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 구홍은 나라가 망하자 두문동으로 들어가 절의를 지킨 72현 중의 한 사람이다. 1637년(인조 15)에는 훈련원 첨정(僉正) 구회신(具懷愼)[1564~1634]을 배향하였으며, 1783년(정조 7)에는 구회신의 현손(玄孫) 자헌대부 동지중추부사 구홍리(具洪履)[1692~1779]를 추배(追配)하였다. 「중건 상량문」과 「기문(記文)」은 동계(東溪) 김창년(金昌年)이 지었다. 「중건봉안문」은 다음과 같다.

“이 묘우를 돌아보니 문절공을 모신 사당으로, 삼현(三賢)을 향사하니 일소이목(一昭 二穆)입니다. 춘추로 향화(香火)를 드리며 길이 본보기로 삼아, 사모하여 갱장(羹墻)을 붙인 지 수백 년이 되었습니다. 백양(白羊)[1871년]에 이르러 우리의 도가 액운을 만나, 조정의 명으로 묘우가 훼철되니 누가 감히 거역할 수 있었겠습니까? 황량한 빈터에 잡초만이 무성하니, 규맥(葵麥)의 노래처럼[麥秀歌] 마음이 상심하고 옛 자취가 처량하였습니다. 빈터를 가리키며 탄식하지 않은 적이 없었으며, 우울한 마음을 펴지 못하고 또 100년이 흘렀습니다. 천리가 순환하여 마침내 밝게 풀 수 있게 되어, 광명이 비치니 의논을 발하여 복원하기로 하였습니다. 새로 재목을 구입하여 묘우를 중건하니, 묘우가 새롭게 빛나고 단청이 영롱하옵니다. 좋은 날 좋은 때를 점쳐 택하여, 신주를 다시 새롭게 만들어 부조묘(不祧廟)에 모시오니 길이 기뻐하시옵소서. 희생(犧牲)과 술로써 제향을 드리오니 변두(籩豆)가 정연하고, 모든 법도가 갖추어지니 더욱 새롭고 우리의 도가 빛나옵니다. 영원토록 길이 편안하시옵소서. 경건히 술잔을 올리며, 감히 그 연유를 고하오니 강림하시어 밝게 이르소서.”

[위치]

표절사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 마을 뒤 학봉(鶴峰) 아래에 있다.

[변천]

표절사는 1600년 건립 후 수차례 중수를 하였다.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는데 2007년에 문중에서 중건·복원하였다.

[형태]

표절사는 정면 2칸, 측면 1칸의 남향 목조 기와집이다.

[현황]

표절사는 관리 상태가 양호하다. 능성구씨 문중에서 매년 1회 제향을 거행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표절사는 고려 ‘두문동 72현’의 절의 정신과 임진왜란 때 창의한 의병장을 제향하는 사당이며, 충효 정신을 교육하는 데 본보기가 될 수 있는 유적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