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토지임시조사국 대구출장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625
한자 土地臨時調査局 大邱出張所
이칭/별칭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대구출장소,토지조사국 대구출장소,임시토지조사국 대구출장소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임삼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10년 10월 1일연표보기 - 토지임시조사국 대구출장소 설립
해체 시기/일시 1918년 11월 4일연표보기 - 토지임시조사국 대구출장소 해체
성격 기관단체|식민 통치기구

[정의]

일제 강점기 대구광역시에 설립한 임시토지조사국 소속 조직.

[개설]

일제는 1905년 12월 통감부 설치 이후부터 토지조사사업을 위하여 한국의 토지제도와 토지소유 관습 등에 대하여 조사하고 연구하여 『한국토지조사계획서』를 발간하였다. 또한 1910년에는 「토지조사법」이 제정되었다. 이로써 일제는 토지조사사업을 전면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체제를 마련하였다.

[변천]

1910년 9월 30일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관제가 공포되어 1910년 10월 1일 임시토지조사국이 설치되었다. 이에 따라 임시토지조사국 대구출장소가 대구에 설치되었다. 토지조사사업이 종료되면서 임시토지조사국 대구출장소는 1918년 11월 4일 해체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임시토지조사국 대구출장소는 1910년 10월 1일부터 1918년 11월 4일까지 경상도 전역의 토지조사사업과 관련된 일체의 사무를 담당하였다.

임시토지조사국 대구출장소에서 근무하였던 대표적 인물은 서병화(徐炳和)[1883~?]이다. 서병화는 1911년 임시토지조사국 대구출장소 측량과 기수를 시작으로 하여 1918년까지 임시토지조사국 대구출장소 기술과와 측지과에서 근무하였다. 토지조사사업이 종료된 뒤에는 경상북도 달성군의 서기로 근무하였다.

[의의와 평가]

임시토지조사국은 토지조사사업을 주관하는 대표적 실무 기관이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