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조선공산당경북도위원회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590
한자 朝鮮共産黨 慶北道委員會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일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45년 8월연표보기 - 조선공산당경북도위원회 결성
최초 설립지 조선공산당경북도위원회 - 대구광역시 중구 북성로1가 지도보기
성격 기관 단체

[정의]

1945년 대구광역시에서 결성된 조선공산당 소속 조직.

[개설]

조선공산당경북도위원회(朝鮮共産黨慶北道委員會)는 1945년 8월 대구에서 결성한 조선공산당(朝鮮共産黨)의 경상북도 조직이다.

[설립 목적]

조선공산당경북도위원회는 조선의 완전한 독립과 토지 문제의 혁명적 해결을 위하여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을 당면 과제로 내세우고, 모든 진보 세력이 참여한 민족통일전선을 바탕으로 한 인민 정부의 수립을 목표로 하였다.

[변천]

조선공산당경북도위원회는 1945년 8월 대구에서 결성되었으며, 위원장은 장적우(張的宇)[1902~?]가 맡았다. 좌익 3당 합당 추진에 관하여 적극적으로 나섰고, 1947년 2월에 이견이나 갈등 없이 남조선노동당(南朝鮮勞動黨) 지방 조직이 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조선공산당경북도위원회는 1946년 2월 ‘민주주의민족전선(民主主義民族戰線) 결성대회’에 참가하고, 장적우가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다. 아울러 민주주의민족전선 경상북도 조직의 결성도 주도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공산당경북도위원회는 1946년 2월에 열린 ‘조선공산당 중앙 및 지방 동지 연석 간담회’에 장적우, 황태성(黃泰成)[1906~1963], 김일식(金一植)[1911~?]이 경상북도 대표로 참석하고, 「조선공산당 대회 소집 준비위원회 구성 건의서」를 당 중앙위원회에 연명으로 제출하였다. 조선공산당경북도위원회의 지도부는 민주주의민족전선과 같은 통일전선 조직, 조선노동조합대구평의회, 부녀동맹, 청년동맹 등과 같은 대중운동 단체의 지도부와 겹치는 경우가 많았다.

[의의와 평가]

조선공산당경북도위원회는 1928년 해체된 조선공산당경북도기관(朝鮮共産黨慶北道機關)을 재건하는 역사적 의미를 지녔다. 또 광복 후 대구 지역의 대중 조직과 통일전선 운동을 지도하면서 좌익 노선의 국가 건설 활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