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제3대 도의원선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585
한자 第三代 道議員選擧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삼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생|시작 시기/일시 1960년 12월 12일연표보기 - 제3대 도의원선거 실시
종결 시기/일시 1960년 12월 12일 - 제3대 도의원선거 종결
성격 선거
관련 인물/단체 신민당|민주당|사회대중당

[정의]

1960년 12월 12일 제3대 도의원을 선출하는 선거.

[역사적 배경]

1960년 11월 1일 「개정지방자치법」에 의하면 1960년 12월 12일 서울특별시와 도의회의원 선거, 12월 9일 시·읍·면의회의원 선거, 12월 26일 시·읍·면장 선거, 12월 28일 서울특별시장·도지사 선거를 실시하도록 되었다. 한편, 1960년 9월 24일 내무부 당국에 따르면, 경상북도 도의원의 수는 기존 61명에서 71명으로 증가하였다. 그 가운데 대구시의 정수는 12명이어서, 1956년 제2대 도의원 선거 때 9명보다 증원되었다.

「개정지방자치법」에는 “첫째, 선거권의 연령을 20세로 한다. 둘째, 서울특별시장, 도지사의 피선거권 연령을 30세 이상으로 한다. 셋째, 선거운동은 시·읍·면장과 긴급의회의원 선거에서는 대체로 「국회의원선거법」에 준한다. 다만, 서울특별시장과 도지사 선거에서는 구와 군 단위로 합동연설회를 개최하거나 개표구당 1회의 개인연설회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거구 내에서 발행하는 일간지 2종에 1회씩 선거에 관한 광고를 게재할 수 있다”라는 내용이 담겨져 있다.

[경과]

선거 공고에 따라 총 305명의 입후보자 가운데 대구 지역에는 48명이 등록했다. 제1구에는 민주당 1명, 신민당 1명, 무소속 2명, 제2구에는 민주당 1명, 무소속 3명, 제3구에는 사회대중당 1명, 민주당 1명, 신민당 1명, 무소속 2명, 제4구에는 신민당 1명, 민주당 1명, 제5구에는 무소속 3명, 민주당 1명, 제6구에는 신민당 1명, 민주당 1명, 제7구에는 민주당 1명, 신민당 1명, 무소속 4명, 제8구에는 민주당 1명, 무소속 5명, 제9구에는 민주당 1명, 사회대중당 1명, 신민당 1명, 무소속 2명, 제10구에는 민주당 1명, 신민당 1명, 사회대중당 1명, 무소속 1명, 제11구에는 신민당 1명, 무소속 2명, 제12구에는 신민당 1명, 민주당 1명, 무소속 1명이다. 정당별로는 민주당 11명, 신민당 9명, 사회대중당 3명, 무소속 25명이어서, 무소속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연령별로 보면 30세 미만 청년층이 다수이다. 4·19혁명 직후의 시대상을 엿보게 한다.

1960년 12월 12일 제3대 도의원선거가 실시되었다. 대구 지역의 제3대 도의원선거는 정당을 기반으로 한 선거운동이라기보다 사조직과 개인 인기를 내세운 득표 활동이었다. 각 후보자와 운동원들이 스피커를 동원하여 득표 활동을 하였지만 유권자들은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 선거 결과 경상북도 내 총유권자 177만 4495명 가운데 67.3%의 투표율을 보인 반면, 대구에서는 13만 8882명이 투표하여 45%의 투표율에 머물렀다. 지지율 저조 배경은 우선 민주당 내분이다. 민주당의 분당 상황이 선거를 앞두고 대구시 대안동[현 대구광역시 중구 대안동] 민주당 사옥에 대하여 서로 연고권을 주장하면서 민주당 경북도당 현판과 신민당[민주당 구파] 현판이 동시에 걸릴뻔한 해프닝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민주당의 내분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에 보냈던 국민의 지지가 크게 떨어지게 하는 배경이 되었다. 무소속이 현저하게 진출하였기 때문이다. 또 하나는 무소속이 정당 입후보자보다 더 많았기 때문이다.

[결과]

제3대 도의원 의원선거에서 대구 지역의 당선자는 제1구 이학동[민주당], 제2구 백대윤[무소속], 제3구 최일[사회대중당], 제4구 강철호[신민당], 제5구 백홍용[무소속], 제6구 변형세[신민당], 제7구 임규하[민주당], 제8구 김태동[무소속], 제9구 최윤교[무소속], 제10구 신현석[민주당], 제11구 김정호[신민당], 12구 서정학[신민당]이다. 당선자를 정리하면, 신민당 4석, 민주당 3석, 사회대중당 1석, 무소속 4석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