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시무학당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508
한자 時務學堂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김일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05년연표보기 - 시무학당 개설
성격 사립학교

[정의]

개항기 대구광역시에 있었던 교육 기관.

[설립 목적]

시무학당우현서루(友弦書樓)를 기반으로 근대 지식 개발 증진과 시무의 지혜를 발견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변천]

시무학당우현서루와 함께 1911년 일제의 방해로 해산되어 ‘강의원’이라는 이름으로 운영된 것으로 보인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시무학당우현서루와 관련이 있다. 우현서루는 1904년에 대구의 자본가 이일우(李一雨)가 교육으로 근대적 인재를 육성할 계획으로 세운 것이었다. ‘우현’이라는 말은 중국 은나라 사람들이 군사를 모아서 나라를 구한다는 뜻에서 가져온 것이다. 우현서루의 교육은 구학(舊學)을 바탕으로 삼아 신학 또는 신지식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시무학당은 1905년 이일우우현서루 내에 사립학교를 설립할 것을 학부에 청원하면서 개설되었다. 시무학당은 대한국민의 지식 개발과 국내외 신구 서적을 통한 시무에 적절한 방안을 찾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시무(時務)’는 ‘때에 힘씀’이라는 뜻으로, 근대 교육 진흥을 가장 주요한 과제로 삼았던 계몽운동의 지향과 합치되는 것이었다.

시무학당을 설립한 이일우는 임시 학당장이 되어, 시무학당의 인가를 받기 위하여 학부에 청원서를 제출하였다. 시무학당은 시무 학문에 능한 인물을 학당장으로 초빙하고, 지식 발달에 유익한 국내외 신구 서적과 각종 신문·잡지 등을 널리 구매하여 갖출 계획이었다. 곧 동서고금의 역사, 지리, 산학, 격치, 화학, 경제, 물리, 농상공, 법률학, 의학, 병학 등의 서적과 각종 신문과 잡지를 포괄하였다. 이처럼 시무학당은 시무에 뜻이 있는 사람을 모아 서적과 신문 잡지를 열람하여 시무를 토론할 계획으로 설립·운영되었다.

[의의와 평가]

시무학당은 대구에서 시무에 필요한 교육기관으로 설립된 사립학교로서 근대 교육 운동의 확산에 이바지하고 근대사회를 전망하고 있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