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대구성경학교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499
한자 大邱聖經學校
이칭/별칭 성경학당,성경학교,대구동산 성경학원,대구성격학교,대구동산 성경학당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일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교 시기/일시 1913년 3월연표보기 - 대구동산 성경학당 개교
폐교 시기/일시 1940년 5월연표보기 - 대구성경학교 폐교
성격 기독교 교육기관
설립자 안의와|조선예수교장로회

[정의]

일제 강점기 대구광역시 지역에 있었던 사립 교육 기관.

[교육 목표(교훈 포함)]

대구성경학교의 교육목표는 ‘장래 교회 인도자의 양성’이었다. 학생들의 특징은 신학교 입학을 희망하는 사람 중에 나이가 적거나 성경 공부가 부족한 사람들이었다.

[변천]

대구동산 성경학당으로 개교한 이래 1919년에는 대구동산 성경학원으로 불렸다. 성경학원은 1920년대 후반부터 ‘성경학교’라는 명칭과 혼용하여 불렸다. 1936년 개학 광고에는 ‘대구성경학교’로 표기하였다. 대구성경학교는 1940년 5월 일제의 탄압으로 폐교하였다가 1946년 4월 대구고등성경학교로 명칭을 변경하여 다시 개교하였다.

[교육 활동]

대구성경학교는 1913년 3월 미국 북장로회 소속 안의와 선교사의 주도로 대구동산 성경학당으로 개교하였다. 3·1운동이 펼쳐지던 1919년에는 성경학당이 아닌 성경학원으로 교명이 변경되어 있었다. 성경학원의 학생들은 1919년 3월 8일 대구 서문시장에서 전개된 만세독립운동에 참가하고, 시위 군중과 함께 달성군청까지 행진하며 가두시위를 벌였다.

대구성경학교는 대구의 조선예수교장로회에서 맡아 운영하였다. 1920년대 이후에는 대구여자도사경회(大邱女子都査經會), 신명학교(信明學校) 졸업생 동창회, 경북노회의 대구대회 등 기독교 관련 기관이나 단체의 집회 장소로 활용되었다.

1936년 대구성경학교 남자부 개학 광고를 통하여 볼 때, 학제는 1년에 2개월씩 4년제로 진행되었다. 입학 자격은 20세 이상의 남자, 세례받은 자, 교역자의 추천이 있는 자, 병 없고 건강한 자, 개학 후 5일 이내로 오는 자 등이었다. 교과목은 총론, 교회사기, 신구약 성경 주해, 주일학교 조직, 음악, 요리 문답, 개인전도 실행, 성경 도리, 심리학, 강도법, 강도실행. 기독교와 사회주의, 교수법, 종교 비교, 목회학 등 현장 사역에 요구되는 것이었다. 대구성경학교에 다니기 위하여 학생들이 내는 수업료는 한 학기당 1원, 한 학기당 책값 및 문방구 비용 3원 정도, 기숙사 보증금 50전, 식사비는 매월 6원, 학우회비 신입생 30전, 재학생 20전 등이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