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미군정청 대구부고문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434
한자 美軍政聽 大邱府顧問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일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45년 11월연표보기 - 경북군정청 대구부고문 설치
성격 공공기관
설립자 미군정청

[정의]

1945년 11월 대구광역시에 설립된 경상북도군정청 소속 행정 고문 기구.

[개설]

1945년 11월 경상북도군정청은 미군정청 특사로 파견된 서상일(徐相日)최윤동(崔允東)의 추천을 수용하여 에드윈 A. 헨 경북도지사가 발표하는 방식으로 대구부 행정고문을 선정하였다. 미군정청 대구부고문은 경북군정청의 협의기관적 성격을 가졌다.

[설립 목적]

미군정청 대구부고문미군정청의 시정 방침을 일반 대중에게 주지시키고, 대중의 여론을 수렴하여 군정에 반영하는 역할과 행정 및 행정기관의 개혁에 협력할 것을 목적으로 설치하였다. 또 군정 당국에 조력하여 군정의 원활한 운영에 협조하고, 한국인의 자치 능력을 보여 줌으로써 국가 건설을 촉성하는 목적도 있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미군정청 특사는 1945년 11월 3일 대구를 방문하여 11월 5일 경상북도군정청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상북도군정청의 행정고문과 부·과장급 실무진을 추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추천 기준은 비일본적이고 민주적이며 신망이 높은 사람이 될 것이라 밝혔다. 행정고문은 민선 고문 기관에 앞서 관선 기관을 정돈하는 의미를 지닌다고 밝혔다.

미군정청 대구부고문은 김태희(金兌熙), 정운기(鄭雲麒), 박래승(朴來昇), 김하정(金夏鼎), 이재영(李在榮), 윤용기(尹龍基), 양규식(梁奎植), 김종구(金鍾耈) 등 8명으로 구성되었다. 미군정청 대구부 관선 행정고문은 친일반민족행위자가 제외된 채 민족주의 계열이 다수를 이루었다. 일제강점기 사회운동 활동 이력이 있는 사람은 정운기와 김하정 등 두 명 정도였다.

미군정청 민선 대구부고문은 이정우(李廷雨), 김성곤(金成坤), 최임출(崔壬出), 이상훈, 김주호(金周鎬), 정완수(鄭浣秀), 전병희(全炳熙), 엄성문(嚴成文), 최규택(崔圭澤), 서달수, 신윤승(申允承), 이상문(李相文), 이종완(李種完), 배영기(裵永璣), 김승환(金承煥), 배정기(裵永璣), 서정도(徐正度) 등 17명이었다. 이에 관선과 민선을 모두 합하여 대구부 고문은 25명으로 구성되었다. 이 가운데 김성곤이상훈은 좌익계 인물이었다. 민선 고문은 관선 고문과 달리 친일 협력의 경험이 있는 자들이 선출되는 경우가 없지 않았다.

미군정청 대구부고문은 경상북도군정청 당국의 군정 운영에서 주요 기반이 되었다.

[의의와 평가]

미군정청 대구부고문은 경상북도군정청의 협의기관적 성격을 가지면서 민선 도고문에 선행하여 추진되었다. 경상북도군정청의 협조자인 동시에 우익 정치세력의 관료화에 일조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