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대구형무소 수감자 학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388
한자 大邱刑務所 收監者 虐殺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일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간인 학살 사건

[정의]

1950년 6·25전쟁 전후 대구형무소 수감자들이 국가 권력에 의하여 학살당한 사건.

[역사적 배경]

6·25전쟁이 발발하던 1950년 6월 당시 대구형무소 수감자 규모는 8,026명 정도였다. 당시 대구형무소 수감자는 다양한 유형의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대구형무소 수감자의 3분의 2가 국가보안법을 위반한 사상범들이었다. 대구형무소의 사상범은 10월 항쟁, 대구 6연대 사건, 국민보도연맹 등의 대규모 사건을 비롯하여 개별적 사건이 있었다. 10월 항쟁의 경우 군정 당국에 의해 1946년 10월 2일부터 11월 말 사이에 대구와 인근에서 2,000여 명, 경북에서 7,500명의 좌익계 정당·사회단체 관련자, 학생, 노동자, 농민, 도시 하층민, 부랑민 등이 검거되었다. 검거자 중 6,500명은 1947년 1월 말까지 석방되고, 280명은 특별 군사 재판을 거쳐 형이 확정되었으며, 640여 명은 조사 중이거나 재판에 계류 중이었다.

대구형무소 수감자 중 많은 수가 1950년 6·25전쟁 직후 대구와 인근의 가창, 경산 등지에서 학살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형무소 수감자 학살에 대한 조사는 4·19혁명 시기에 만들어진 경북피학살자유족회와 국회에서 만들어진 특별조사반 경북반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국회의 특별조사반 경북반은 1960년 6월 2일부터 6월 6일까지 경상북도 달성군 가창과 경상북도 문경군 산북면 석달 마을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가창 조사는 대구형무소 수감자 학살과 관련되었다.

[경과]

특별조사반 경북반은 1960년 6월 5일 대구형무소에서 벌인 조사 과정에서 대구형무소 관계자로부터 1950년 7월 6일부터 약 1주일 동안 대구형무소 수감자 중 기결수 371명, 미결수 1,031명 등 모두 1,402명을 군경에게 인계하였다는 설명을 들었다. 당시 특무대 헌병과 경찰 수사 요원들이 1차로 사형 언도자 및 사형 구형 예정자 명단을 제시하여 신병 인계를 요구하였다고 하였다. 2차로 법원 경찰 및 각 경찰서에서 송치한 좌익계 등 죄수들의 신병 인계를 요구하여 전체 1,402명을 데리고 간 것으로 진술하였다.

대구형무소의 수감자가 특무대 헌병과 경찰에 인계될 때, 수감자 신병 인계 영수증뿐 아니라 최소한의 구비 서류도 없이 단지 인도 신분증만을 작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마저도 1950년 8월 대구형무소 철수를 예정한 상사의 명령에 소각한 것으로 진술하였다.

[결과]

대구형무소 수감자로 군경에 인계된 1,402명의 대부분은 경산 코발트 광산과 대구 인근의 경상북도 달성군 가창에서 학살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별조사반 경북반의 윤용구 의원은 “비록 재감자라 할지라도 사형 선고도 없이 이렇게 학살당한다는 것은 법치주의 국가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며, 우리 조사반은 전력을 다해서 맡은 일을 완수하겠다”라고 강조하였다. 그런데 대구형무소 수감자 학살은 더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1950년 8월 대구형무소에서 진주형무소로 이감된 미결수 300여 명이 삼천포 앞바다에서 수장되었다거나 대구형무소에서 부산형무소로 이감된 수감자 1,404명 중 1,172명이 학살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별조사반의 지시로 1961년 6월 3일부터 경북도청 사회과에서 유족의 신고를 접수받았다. 신고된 수는 4,000여 건에 달했다. 하지만 5·16 군사 정변과 함께 신고 접수와 진상 규명 등은 진행될 수 없었다.

[의의와 평가]

대구형무소 수감자 학살6·25전쟁 전후 국가 권력에 의한 대규모 학살로서 명확한 진상 규명과 후속 대책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