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329
한자 大邱郵便局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임삼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895년 10월 21일 - 대구우체사 개사
설립 시기/일시 1895년 11월 1일연표보기 - 대구우편수취소 설치
해체 시기/일시 1903년 11월 1일 - 대구우체사 폐지
개칭 시기/일시 1905년 10월 21일연표보기 - 대구우편수취소에서 대구우편국으로 개칭
이전 시기/일시 1916년 12월 11일 - 대구우편국 대구광역시 중구 북성로1가에서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 35로 이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37년 1월 31일 - 대구우편국 경상북도 달성군 해안면 입석동 대구비행장 내에 대구우편국 비행장 분실 설치
개칭 시기/일시 1949년 8월 30일 - 대구우편국에서 대구우체국으로 개칭
주소 변경 이력 대구우편국 - 대구광역시 중구 북성로1가 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대구우편국 -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 35
현 소재지 대국우체국 - 대구광역시 중구 경상감영길 80[포정동 35]지도보기
성격 우편 기관
설립자 대한제국

[정의]

일제 강점기 대구광역시에 있었던 우편 행정 기관.

[설립 목적]

대구우편국은 대구 지역의 우편 및 통신 업무를 담당하기 위하여 1905년 10월 설립되었다.

[변천]

조선 정부는 1895년 5월 「농상공부령」 제10호에 근거하여 농상공부 통신국 산하 우체사(郵遞司)를 전국 24곳에 설치하여 전국적인 우편망을 갖추고 근대적 우편 업무를 실시하였다. 대구에도 1895년 10월 21일 대구우체사(大邱郵遞司)가 개사되었다. 1903년 11월 1일 대구우체사가 폐지되면서 대구우편수취소가 설치되었다.1906년 6월 당시 대구에서 제일 큰 건물이었던 대구우편국 청사가 신축 준공되면서 전화도 가설되었다. 이때부터 대구우편국은 우편 업무, 금융 업무뿐 아니라 전화 교환과 같은 통신 업무도 담당하기 시작하였다.

대구우편국은 1916년 12월 11일 대구부 원정1정목[현 대구광역시 중구 북성로1가]에서 대구부 상정[현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으로 이전하였다. 1937년 1월 31일 경상북도 달성군 해안면 입석동 대구비행장 내에 대구우편국 비행장 분실을 설치하고 전쟁에 필요한 우편·통신 업무를 구축하였다. 1949년 8월 30일 대구우편국에서 대구우체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56년 5월 1일 대구전화국이 설치되면서 이후 대구우체국은 주로 우편, 예금, 보험 업무만을 담당하게 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1906년 6월 대구우편국 내 전화 개국 당시 전화 가입자 수는 약 100여 명 미만이었지만 1910년에는 약 500여 명에 달하였다. 4년 만에 전화 가입자 수가 무려 5배나 늘어났다.

[참고문헌]
  • 미와 조테츠, 『조선 대구 일반』(최범순 옮김, 영남대학교 출판부, 2016)
  • 우표로 여는 세상(http://blog.naver.com/400251)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