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대구대학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259
한자 大邱大學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일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47년 3월 10일 - 대구문리과대학 개교
설립 시기/일시 1947년 10월 1일연표보기 - 대구대학 설립
설립 시기/일시 1950년 - 청구대학 설립
개칭 시기/일시 1967년 12월연표보기 - 대구대학 영남대학교로 개편
최초 설립지 대구대학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대건중학교]지도보기
성격 대학
설립자 대구대학설립기성회

[정의]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에 있었던 사립 대학.

[교육 목표(교훈 포함)]

대구대학은 민족문화의 선구자이자 인류 문화의 기수인 국가 진량(陳樑)을 양성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아울러 심오한 학문을 연마하며, 치밀한 기술을 궁구함으로써 세계에 비견할 학자를 배출하며, 대정치가·기술가·사업인 양성을 목적으로 하였다.

[변천]

대구대학은 광복 후 교육 재건의 중요성을 절감한 대구의 유지들이 중심이 되어 국가와 지역사회에 필요한 인재 양성을 위하여 종합대학을 설립할 목적으로 경북종합대학기성회를 발족하였다. 경북종합대학기성회는 1946년 9월 정해붕을 회장으로 하는 경북종합대학재단 조성위원회를 결성하고 1945년 11월 27일 경상북도 도지사 명의로 ‘대구국립종합대학’ 설립인가를 문교부[현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에게 신청하였다.

그러나 해방 직후 국내정세가 혼탁하고 서울에서는 국대안반대운동이 벌어지는 상황이어서 경북종합대학기성회가 목표로 한 ‘대구국립종합대학 설립’이 어렵게 되자 단과대학 설립 운동으로 전환한 가운데 1947년 3월 10일 가칭 ‘대구문리과대학’을 개교하였다.

대구문리과대학은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에 있던 대건중학교 교사 일부를 빌려 사용하였다. 학교 편성은 2년제 예과의 문과와 이과 각 1학급과 3년제 전문부의 법과 1학급이었고, 교수 7명에 학생 총수는 201명이었다. 이어 재단법인 조직에 착수하여 대구·경상북도 유지의 성금 1,000만 원과 토지 약 300만㎡, 최준 외 기증 장서 7,800권을 기본 재산으로 하여 최준, 정해붕, 이상호, 이상렬, 추병화 등 5명 명의로 재단법인 대구대학으로 설립인가 신청서를 문교부 장관에 제출하였다. 1947년 9월 22일 정식으로 설립인가를 받았고 1947년 10월 1일 ‘대구대학 설립(大邱大學設立)’으로 이어졌다. 초대 이사장은 정해붕(鄭海鵬)이었고, 초대 학장은 전봉빈(田鳳彬)이었다.

[교육 활동]

대구대학은 1947년 10월 1일 대구문리과대학 교사에서 정식 개교하여 영문학과, 철학과, 법학과, 정치학과, 경제학과, 응용화학과 등 6개 학과에 교수 16명으로 1947년 10월 7일부터 학부 강의를 시작하였다.

[현황]

대구대학은 1950년 설립된 청구대학과 통합하여 1967년 12월 영남대학교로 개편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