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대구 십자도로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206
한자 大邱 十字道路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김일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생|시작 시기/일시 1909년연표보기 - 대구 십자도로 조성
성격 도로

[정의]

1909년 경상북도관찰사 박중양이 주도하여 만든 대구 최초의 십자도로.

[역사적 배경]

을사조약을 계기로 1906년 대구에 이사청이 설치된 이후 대구읍성이 헐리고 대구읍성이 헐린 자리에 순환도로가 조성되었다. 이어 경상감영 객사가 철거되었다. 그 뒤 경상북도 관찰부의 관찰사 박중양(朴重陽)은 시가지 간선도로 개설 사업을 벌이면서 경상감영을 관통하는 십자도로 건설에 나섰다.

[경과]

대구 십자도로는 1909년 시가지 간선도로 개설 사업으로 조성되었다. 1908년 대구읍성을 허물고 만든 동성로, 남성로, 서성로, 동성로 등 도로와 연결되는 것이었다. 십자도로는 대구부청 앞에서 도청이 있는 포정동을 거쳐 서문로로 이어지는 동서선과 종로에서 대안동에 이르는 남북선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대구 십자도로대구읍성경상감영 내부를 동서남북으로 관통함에 따라 경상북도 관찰부 자리는 네 부분으로 갈라졌다. 경상감영의 맞은편에는 경북재판소, 서편에는 대구농공은행과 제일은행이 들어서고, 대구농공은행의 서쪽 건너편에는 대구경찰서가 들어섰다. 그 주변에는 제국재향군인회 대구지부, 적십자사 대구지부 등 일본의 관변단체가 자리 잡았다.

대구 십자도로의 건설을 추진한 박중양은 대구의 일본인 민회로부터 감사와 존경의 표시로 금줄이 달린 금시계를 선물 받았다. 대구의 일본인들은 박중양을 ‘대구의 은인’으로 치켜세웠다.

[의의와 평가]

대구 십자도로의 개통은 일제의 대구 침탈에 따른 경북 관찰부[경상감영]의 변동과 훼손이 마무리되었음을 상징하는 일이었다. 이로써 조선조 경상감영의 설치 이래 경상도의 상징이었던 경북 관찰부[경상감영]의 위엄은 무너지고 말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