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173
한자 癩病院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임삼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13년연표보기 - 나병 환자 치료 보호소[대영나병자구료회 조선지부 유지재단] 설치
개칭 시기/일시 1917년 5월 6일연표보기 - 대영나병자구료회 조선지부 유지재단에서 대구 나병원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24년 5월 7일연표보기 - 대구 나병원에서 애락원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68년 8월 16일연표보기 - 애락원에서 대구애락보건병원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04년 12월 21일연표보기 - 대구애락보건병원에서 대구애락원으로 개칭
최초 설립지 대영나병자구료회 조선지부 유지 재단 - 대구광역시 서구 내당동 52
현 소재지 대구애락원 - 대구광역시 서구 통학로 30[내당동 13-45]지도보기
성격 병원
설립자 대영나병자구료회|동산기독병원

[정의]

1913년 대구광역시에 나병 환자를 치료하기 위하여 설립된 전문 의료 기관.

[설립 목적]

의료선교를 펼치던 개신교 선교사들이 대구·경상북도 지역의 나병 환자를 치료하고 자활을 돕기 위하여 대영나병자구료회의 도움을 받아 대구의 나병원(癩病院)을 설립하였다.

[변천]

대구 나병원은 1913년 개신교 선교사들이 대영나병자구료회 본부의 지원을 받아 대구광역시 서구 내당동 52에 나병 환자를 치료할 보호소를 세우고 나병 환자를 수용하여 치료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1915년 6월 7일 보호소 명칭을 대영나병자구료회 조선지부 유지 재단이라 칭하였다. 1917년 5월 6일 대영나병자구료회 조선지부 유지 재단에서 대구 나병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24년 5월 7일 대구 나병원에서 애락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고 1968년 8월 16일 애락원에서 대구애락보건병원으로, 2004년 12월 21일 대구애락보건병원에서 대구애락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설립 당시 대구 나병원은 약 100명의 환자를 수용할 수 있는 규모였고 부속 시설로 예배당과 남녀 병동, 진료소, 농장 등이 갖춰져 있었다. 대구 나병원은 중증의 환자는 수술 치료와 외용약 처방을 통하여 치료하였다. 증세가 가벼운 환자는 농장에서 채소나 소, 돼지, 염소, 닭 등을 길렀고 여자 환자는 세탁과 재봉 등의 일을 하면서 매주 2회에 걸쳐 주사 치료를 받았다.

[의의와 평가]

대구 나병원은 의료 혜택의 최약자였던 나병 환자를 치료하여 인간다운 삶을 살 기회를 제공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