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161
한자 勸業模範場 大邱支場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근대
집필자 임삼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08년 4월 - 권업모범장 대구출장소 설치
개칭 시기/일시 1910년 9월 - 권업모범장 대구출장소에서 권업모범장 대구지장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14년 1월 - 권업모범장 대구지장에서 경상북도 종묘장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32년 10월 - 경상북도 종묘장에서 경상북도 농사시험장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4년 5월 - 경상북도 농사시험장에서 농사시험장 대구지장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5년 8월 - 농사시험장 대구지장에서 중앙농사시험장 대구지장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6년 4월 - 중앙농사시험장 대구지장에서 국립농사시험장 대구지장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9년 1월 - 국립농사시험장 대구지장에서 경상북도농사기술원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57년 9월 - 경상북도농사기술원에서 경상북도농사원으로 개칭
이전 시기/일시 1971년 - 경상북도농사원 대구광역시 서구 원대동에서 대구광역시 북구 칠곡중앙대로136길 47[동호동 189]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98년 10월 - 경상북도농사원에서 경상북도농업기술원으로 개칭
최초 설립지 권업모범장 대구출장소 - 대구부 원대동[현 대구광역시 서구 원대동]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경상북도농사원 - 대구광역시 북구 칠곡중앙대로136길 47[동호동 189]로 이전
현 소재지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대구광역시 북구 칠곡중앙대로136길 47[동호동 189]지도보기
성격 식민통치기구|농업기술센터

[정의]

일제 강점기 대구광역시에 설치된 권업모범장 소속 출장소.

[개설]

권업모범장은 일제 통감부가 일본식 농법을 한국에 이식 및 보급하여 한국의 농업 생산량을 늘리고자 설치한 농사 시험 기관이다. 통감부는 1906년 4월 27일 「통감부권업모범장관제」[칙령 제69호]를 발포하고 권업모범장을 전국적으로 설치하기로 결정하였다. 1906년 6월 15일 경기도 수원에 설치한 권업모범장을 시작으로 1908년 이후 전국 각지에 권업모범장 시험지와 권업모범장 출장소 등을 설치하였다.

[변천]

대구에는 1908년 4월 대구부(大邱府) 원대동[현 대구광역시 서구 원대동]에 권업모범장 대구출장소가 설치되었다. 당시 소장은 헤라이 히데타로[戶來秀太郞]였다. 권업모범장 대구출장소는 1910년 9월 권업모범장 대구지장(勸業模範場大邱支場)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14년 1월 권업모범장 대구지장에서 경상북도 종묘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후 1932년 10월 경상북도 종묘장에서 경상북도 농사시험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1944년 5월 경상북도 농사시험장에서 농사시험장 대구지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45년 8월 농사시험장 대구지장에서 중앙농사시험장 대구지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1946년 4월 중앙농사시험장 대구지장에서 국립농사시험장 대구지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49년 1월 국립농사시험장 대구지장에서 경상북도농사기술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1957년 9월 경상북도농사기술원에서 경상북도농사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경상북도농사원은 1971년 서구 원대동에서 북구 동호동 189로 이전하였다. 1998년 10월 경상북도농사원에서 경상북도농업기술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통감부권업모범장관제」에 따르면 권업모범장은 농업의 발달 및 개량을 위한 모범 조사·시험, 물산의 조사, 농업에 필요한 물료(物料)의 분석과 감정, 종묘(種苗)·잠종(蠶種)·종금(種禽)·종돈(種豚) 등의 배부, 농업상의 지도·통신·강화(講話) 등을 관장한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권업모범장의 설치 목적이 일본식 농법을 한국에 이식 및 보급하기 위한 것이었기 때문에 농업의 발달 및 개량을 위한 조사와 시험보다는 농업상의 지도와 권장에 중점을 두었다. 권업모범장 대구지장의 사업은 시험 경작을 위한 사업 지도, 수리(水利) 사업 조사 계획 설계, 종묘 배포, 양돈·양계 번식 장려 등이었다.

[의의와 평가]

일제는 권업모범장을 일본의 농업 생산 향상의 한 기구로 활용하여 한국의 농업을 일본 제국주의 체제로 편입시키고자 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