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경북무진주식회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106
한자 慶北無盡株式會社
영어공식명칭 Gyeongbuk Mujin Corporatio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일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38년 1월 15일연표보기 - 경북무진주식회사 설립
해체 시기/일시 1942년 8월연표보기 - 경북무진주식회사 조선중앙무진주식회사에 흡수
성격 금융기관

[정의]

일제 강점기 대구광역시에서 영세 상공업자와 도시 노동자를 위하여 설립된 서민 금융 기관.

[개설]

상호신용계의 전 용어인 무진(無盡)은 일정한 수의 계좌를 모아 기간과 금액을 정하고 정기적으로 납입한 사람에게 1계좌마다 추첨이나 입찰 등의 방법으로 금액을 내주는 일종의 계와 비슷한 형태의 제도이다. 1910년 일본으로부터 도입된 후 개인이 하던 무진업을 1922년 5월 11일 조선총독부가 회사 조직체로만 경영할 수 있도록 제정한 「조선무진업령(朝鮮無盡業令)」이 발포되면서 전국에 무진회사가 설립되었다.

[변천]

경상북도에는 대구에 1921년 대구무진주식회사와 1922년 10월 조양무진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 또 1922년 11월 김천에 김천무진주식회사와 1923년 9월 포항에 포항무진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1935년 조선총독부가 무진회사 병립의 폐해와 가입자 보호를 위한다는 명목으로 1도 1사의 방침을 내세워 무진회사 합병을 압박하자 대구무진주식회사, 조양무진주식회사, 포항무진주식회사, 김천무진주식회사 등 4개 사를 합병하여 1938년 1월 15일 경북무진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 본사는 대구에 두고 나머지는 대구지점, 포항지사, 김천지사가 되었다.

이후 조선총독부가 전시 통제책의 일환으로 금융 통제를 하면서 무진회사의 대 합동을 추진하였다. 1942년 8월 경북무진주식회사를 마지막으로 전국의 모든 무진주식회사가 한일은행의 전신인 조선중앙무진주식회사에 흡수되었다. 한일은행은 한국상업은행과 합병하여 한빛은행으로 바뀌었다가 평화은행을 분할·합병하면서 우리은행으로 바뀌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경북무진주식회사는 자본금 200만 원으로 설립되었다. 경북무진주식회사의 개업은 조양무진주식회사 사옥에서 이루어졌다. 경북무진주식회사의 임원은 대표이사에 서창규, 이사에 이상악·서병원·서병주·서병화·서상현·정영균 외 일본인 2명, 감사에 이상무 외 일본인 1명 등이 선임되었다. 경북무진주식회사의 주주 현황을 보면 총 4만 주에 111명의 주주가 있었다. 이상악 2,381주, 정영균 1,585주, 윤상태 1,499주, 서창규 1,498주 서병원 1,439주, 서병주 1,415주 등 대부분 조선인이 대주주였다. 경북무진주식회사는 1938년 2월 안동출장소를 신설하며 영업망을 넓혔다.

[의의와 평가]

경북무진회사는 조선총독부의 무진회사 1도 1사 방침에 따라 설립된 조선인 중심의 서민 금융기관으로 대구 서민금융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